산업 IT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 "ICT 미래 열 기술·인재 육성하겠다"

후보자 지명 후 첫 출근길서 포부 밝혀

기술·일자리 창출·인재 육성 중요성 강조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첫 출근길에서 "과학기술과 ICT(정보통신기술) 분야 미래를 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국격을 높일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11일 오전 서울 광화문우체국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하며 소감을 밝히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11일 오전 서울 광화문우체국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하며 소감을 밝히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이 후보자는 11일 오전 서울 광화문우체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첫 출근하며 취재진을 만나 “새 정부에서는 과학기술과 디지털 정책에 민간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새 정부에서 과기정통부가 ‘일자리 창출’에 대해 집중하겠다는 의사도 전했다. 그는 “좋은 일자리 창출, 국가 경제 발전, 사회 전반에 혁신의 물결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과학기술이 산업·실용화될 수 있도록 문제 해결형 방식으로 지원하고 인공지능(AI)과 메타버스 등 분야에서 좋은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인재 육성에 대한 의지도 밝혔다. 이 후보자는 “연구자들이 자율성과 창의성을 갖고 연구해 새로운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그 과정에서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고 창의적인 인재가 길러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통섭’에 대한 의견도 냈다. 이 후보자는 “앞으로 과학기술은 여러 부분이 함께 개발돼야 한다”며 “메타버스나 인공지능 등도 여러 영역이 협동해 기술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디지털 뉴딜 등 현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는 “기초과학 연구 확대 등이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된다”며 “좀 더 보완하고 발전시켜 계승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다. 서울대에서 반도체공동연구소 소장도 맡고 있다.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벌크 핀펫(FinFET)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반도체 전문가다. 이 부호자는 문재인 정부 2대 과기정통부 장관을 맡았던 최기영 전 장관과 함께 교수로 근무한 바 있다. 이 후보자는 최 전 장관과 인연을 묻자 “(장관 후보자 지명) 전에는 따로 논의한 적이 없다”며 “(지명 후에) 문자로 연락드렸고 잠깐 통화했다. 많이 도와주기로 했다”고 답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부터 과기정통부 업무 현황을 파악하고 인사청문회를 준비할 계획이다. 이 후보자는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순간의 소감에 대해서 "얼떨떨해서 기억이 잘 안 나고 정신이 없었다"며 "과연 '내가 능력이 될까'라는 고민을 많이 했고 주변에 지혜로운 분들에게 조언을 구한 뒤 용기를 갖고 임하게 됐다"고 답했다. 후보자 지명 이유에 대해서는 “그동안 겪었던 길, 배워왔던 지식, 경험했던 내용을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활용해달라는 메시지로 이해했다”고 말했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