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용부 "전 국민 고용보험 이어가도 기금 재정 악화없다"

2025년까지 고용보험 확대로 안전망 확대

고보기금 재정 우려에… '보험 논리'로 반박

김영중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이 11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3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영중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이 11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3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용노동부가 현 정부에 이어 차기 정부에서도 전 국민 고용보험 정책을 추진하는 데 재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전 국민 고용보험이 예정대로 추진되면 실업급여 재원인 고용보험기금 재정 악화가 심해질 것이란 일각의 우려를 반박한 것이다.



김영중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11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3월 노동시장 동향에 대해 브리핑을 열고 전 국민 고용보험 계획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고용보험기금) 적자로 전 국민 고용보험 진행에 차질이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안다"며 "하지만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로드맵에 따라 정책 대상자를 확대하더라도 바로 재정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전 국민 고용보험은 2020년 정부가 발표한 대책이다. 고용 사각지대를 없애 모든 취업자에게 고용안전망을 확대하는 게 목표다. 고용부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부터 자영업자까지 단계적으로 지원대상을 2025년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실직을 당한 국민들의 정부 지원(실업급여) 범위가 그만큼 넓어진다.

일각에서는 이 정책이 예정대로 시행되면 고용보험기금의 재정건전성이 악화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미 고용보험기금은 코로나 19사태로 늘어난 실업급여 수요 탓에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키웠기 때문이다. 실제로 고용보험기금의 작년 재정수지 상 적자는 약 6조7000억원이다. 적자 규모만 놓고 보면 전 국민 고용보험이 기금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 다만 이 적자 규모에는 실제 기금을 운영하기 위해 조달한 일반회계 전입금, 공자기금 예수금 등 기관 간 내부거래 금액이 빠졌다는 설명이다. 이 금액을 제외하면 1조원대로 적자폭이 크게 줄어 기금 재정건전성은 시장 예상 보다 나쁘지 않다는 것이다.

고용부가 전 국민 고용보험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다고 판단한 또 다른 이유는 보험의 원리 때문이다. 김 실장은 "고용보험 대상을 늘리면 초기에는 보험료 수입이 더 늘기 때문에 오히려 기금 재정이 개선될 수 있다"며 "실업급여를 받기 위한 요건 충족 기간 등을 고려할 때 기금 보험료가 축적되는 양상이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고용 충격에서 회복되면 실업급여 수요도 크게 준다는 점도 전 국민 고용보험 시행에 유리한 변수다. 실업급여 계정 보험료율은 7월부터 1.6%에서 1.8%로 인상되면서 기금 재원이 더 늘어날 전망이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