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Why 바이오] "삼바, 1Q 실적 시장 기대치 상회…中 봉쇄 등으로 우시 반사이익 전망" 키움증권

1분기 매출 4665억·영업익 1610억 전망

2분기부터 삼성바이오에피스 연결 실적 편입





투자업계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의 1분기 호실적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키움증권은 12일 "3공장 가동률이 상승하고 평균 환율 또한 우호적으로 양호한 실적이 예상된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목표주가는 110만 원으로, 전일(11일) 종가인 80만 1000원보다 30.7% 높게 잡았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12일 보고서를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분기 매출액 4665억 원, 영업이익 1610억 원으로 시장 컨센서스 매출액 4603억 원과 영업이익 1519억 원을 소폭 상회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분기 호실적을 거둔 데는 1~3공장 모두 가동률이 100%로 올라온 데 따른 영향이 크다. 1분기 환율이 1204.95원으로 전분기 대비 2%, 전년동기 대비해서는 8% 상승한 것도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2분기에는 2공장의 유지보수로 인해 가동률 하락이 예상되지만 그로 인한 영향은 최소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2분기부터 100% 자회사로 편입된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연결 실적을 반영한다. 키움증권이 제시한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예상치는 각각 9366억 원과 영업이익 1309억 원이다. 허 연구원은 "유럽 매출 비중이 가장 큰 엔브렐 바이오시밀러 '베네팔리' 원액 비중을 약 30%로 가정한 수치"라며 "연결 편입 후 내부거래 비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내년에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임랄디'의 미국 출시를 앞두고 있다. 올 하반기에는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 '바이우비즈'가 미국 시장에 출시된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블록버스터 제품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전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미국 의약품 시장에 잇따라 출격하면서 점차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 실적상승에도 기여할 것이란 전망이다.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호재도 기대된다. 허 연구원은 "4공장이 오는 10월부터 부분(6만 리터) 가동된다"며 "중국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 우시바이오로직스의 수출 규제 및 중국 봉쇄 정책 등으로 지역 불확실성이 확대된 데 따른 반사이익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4공장은 25만 6000리터의 생산리터를 갖추고 있다.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 규모다. 실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초 우시바이오로직스가 중국 기업 32곳과 함께 미국의 수출입 미검증 목록(UVL·Unverified List)에 포함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반사이익 기대감에 주가가 급등한 바 있다. 그 밖에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커지면서 전 세계 CMO 시장이 커지고 있는 점도 호재로 꼽힌다.

허 연구원은 "다국적 제약사들의 생산시설 다변화, 알츠하이머 항체 신약 출시와 스텔라라, 휴미라 등 블록버스터 약물의 특허만료로 인한 항체 바이오시밀러 출시 등으로 CMO 사업에 우호적인 환경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Why 바이오는=‘Why 바이오’ 코너는 증시에서 주목받는 바이오 기업들의 이슈를 전달하는 연재물입니다. 주가나 거래량 등에서 특징을 보인 제약·바이오 기업에 대해 시장이 주목한 이유를 살펴보고, 해당 이슈에 대해 해설하고 전망합니다. 특히 해당 기업 측 의견도 충실히 반영해 중심잡힌 정보를 투자자와 제약·바이오 산업 관계자들에게 전달합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