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T, 'AI 원팀' 성과 추가 공개… 로봇·음성 신기술 사업 적용

AI 산?학?연 협의체 ‘AI 원팀'

두번째 R&D 성과 공개

로봇·음성 관련 기술로

KT 사업 고도화 나서


KT(030200)가 조성한 인공지능(AI) 산?학?연 협의체 ‘AI 원팀’이 두 번째 공동 연구개발(R&D) 성과를 공개했다. KT는 로봇·음성 등 이번에 새로 개발한 기술들을 사업에 적용해 서비스 고도화에 나설 계획이다.

사진제공=KT사진제공=KT






14일 KT는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4종 AI 기술을 발표했다. 이 기술들은 △로봇 실내 공간지능 △로봇 소셜 인터랙션 △보이스 클로닝 △한국어 E2E 음성인식 트랜스퍼 러닝 등이다.

관련기사



로봇 실내 공간지능은 KT와 명현 KAIST 교수가 함께 개발했다. 로봇이 실내 사물을 식별하고 위치를 기억하는 기술이다. KT 로봇 실내 자율 주행 정밀도를 끌어올릴 수 있다. 로봇 소셜 인터랙션은 KT와 윤성의 KAIST 교수 연구진이 함께 개발했다. 사용자 얼굴 및 행동을 인식한 후, 로봇이 수행할 행동을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했다. 보이스 클로닝은 김회린 KAIST 교수와 공동 연구했다. 개인 음성을 딥러닝으로 학습해 개인화된 음성으로 재구현하는 방식이다. 한국어 엔드 투 엔드 음성인식 트랜스퍼 러닝은 장준혁 한양대 교수와 개발했다. 한국어 음성인식 성능을 높이면서도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줄였다.

AI 원팀은 지난 2020년 2월 출범했다. KT와 현대중공업그룹, LG전자, 한국투자증권, 동원그룹, 우리은행, 한진, KAIST, 한양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이 참여하고 있다. 또 40여 명의 국내 AI 전문가 그룹을 구성해 지난해 무빙 픽처, 딥러닝 음성합성 등 4개 기술을 개발해 공개한 바 있다. AI원팀은 ‘초거대 AI’도 개발 중이다.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해 사람처럼 스스로 사고할 수 있도록 설계한 AI를 의미한다.

송재호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부사장은 “올해도 AI원팀에서 연구기관, 기업, 스타트업 간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내고 AI 국가 경쟁력을 높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