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정통 농정관료…CPTPP 가입 설득 과제

정황근 농림부장관 후보

식량주권 강화 구현 적임자 평가

"농지보전에 인센티브도 결합돼야"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




정황근(62·사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는 정통 관료 출신으로 농촌진흥청장을 지낸 농업정책 전문가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식량 주권 강화’를 구현해낼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정 후보자는 1960년 충남 천안에서 태어났으며 대전고와 서울대 농학과를 졸업하고 1984년 기술고등고시 20회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농림부 대변인과 농촌정책국장·농어촌정책국장·농업정책국장 등을 역임했다. 2013년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농축산식품비서관으로 일했으며 2016년에는 농촌진흥청장으로 취임했다. 퇴임 후에는 충남대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경제학과 초빙교수를 지냈고 현재 국가농림기상센터 이사장으로 있다.

관련기사



윤 당선인은 정 후보자에 대해 “농촌이 직면한 현안 해결은 물론이고 농림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미래 성장 산업으로 키워낼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정 후보자는 소감문에서 “튼튼한 농업, 활기찬 농촌, 잘사는 농민을 만드는 데 모든 역량과 열정을 바치겠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특히 농지 관리를 통한 식량안보를 강조했다. 그는 지명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농지 중 ‘자투리’ 등은 지역개발이나 경관 차원에서 얼마든지 다른 용도로 쓸 수 있다”며 “농지 관리는 규제 일변도가 아니고 활용할 수 있는 쪽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식량안보 차원에서 전 국민을 위해 농지를 보존하는 것과 함께 (농지 보전에 대한) 인센티브도 결합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의 첫 번째 과제는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에 대한 농업인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정 후보자는 “CPTPP를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국민 여론인 것 같다”면서도 “(국익과 농업인들의 걱정이) 적절히 조화를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정부와 농업인이) 충분히 상의하고 관련 대책까지 같이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