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안전도시 만든다' 5조1400억원 쏟아붓는 부산시

정책회의 개최…일상회복 대비 시정 전반 안전 정책 재정비

호우·태풍 대비 등 2030년까지 23개 중점과제 추진

15일 부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정 전반의 안전 정책을 재정비하는 정책회의가 열리고 있다. 부산시는 시민안전 위협 분야를 개선하기 위해 2030년까지 5조14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사진제공=부산시15일 부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정 전반의 안전 정책을 재정비하는 정책회의가 열리고 있다. 부산시는 시민안전 위협 분야를 개선하기 위해 2030년까지 5조14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가 안전 인프라와 제도를 개선하고 생활 속 안전 의식 향상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15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정책회의를 열고 시정 전반의 안전 정책을 재정비했다고 밝혔다. 시는 시민안전 위협 분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2030년까지 23개 중점과제에 5조14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안전 사고와 사망자 수도 같은 해까지 50% 이상 줄이기로 했다.

먼저 기후변화로 여름철에 급증하고 있는 집중호우와 태풍에 대비한다. 풍수해 사망 사고 예방을 위해선 6765억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특히 재해위험지역 53곳에 2666억 원을 들여 배수펌프장, 우수저류시설 등 재해예방 인프라를 조성한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도시침수 위험지역 분석 자료를 토대로 각종 침수정보가 담긴 모바일 기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화재현장의 골든타임도 확보한다. 화재 신고부터 현장 도착까지 단계별 출동환경을 개선해 화재현장 7분 이내 도착률을 90% 이상으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20만 취약계층의 주택 화재 예방을 위해 화재안전시설을 보급하고 화재 사각지대 해소 취지에서 2025년까지 소방관서 3곳을 신설한다. 최근 산불의 장기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선 진화헬기와 장비를 확충하고 산불감시 CCTV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상황관제시스템도 마련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산사태 취약지역 335곳에는 예방사업을 확대 시행하고 시내 해수욕장 전 구간에 2030년까지 24시간 지능형 CCTV를 도입해 안전한 바다 환경을 조성한다. 대형 태풍과 해일에 대비한 재해예방 연안정비사업 등 체계적인 방재 인프라는 2029년까지 단계적으로 조성한다. 사업비는 3710억원으로 추산된다.

교통과 보행 환경도 개선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절반으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여성과 아동이 안전한 도시도 만든다. 부산 자치경찰을 통해선 시민이 참여하는 생활 밀착형 치안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부산형 여성폭력방지 통합플랫폼을 구축·운영해 범죄예방을 위한 원스톱(One-Stop)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코로나19로 지친 시민들의 마음을 위로하기 위한 온·오프라인 상담서비스도 확대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296억 원을 투입해 마음건강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을 150명까지 확충하고 지역기관 간 안전 네트워크를 강화해 자살을 미리 예방하는 사회적 안전망을 마련한다. 신종 감염병 확산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선 2026년까지 서부산의료원과 권역별 지역거점병원 등을 조성한다.

대형·복합 재난을 대비하기 위해선 재해 위험도를 분석하고 대응 신기술을 개발한다. 이를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재난안전 산업도 육성한다. 박 시장은 “이번에 마련한 전략을 통해 안전 인프라와 제도를 개선하고 시민들의 생활 속 안전 의식 향상을 위한 정책도 함께 추진 할 것”이라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시 간부 및 산하기관장과 교통, 보건, 환경, 토목, 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계와 연구기관 전문가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회의를 마친 박 시장은 동래구 우장춘로 지하차도를 방문해 여름철 태풍 및 집중호우 대비 상황을 점검했다. 박 시장은 이 자리에서 ‘지하차도 차량 자동차단 시스템’을 가동해보고 배수시설 등에 대한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