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5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물가 상승 장기화에 대비해 물가 안정을 포함한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한 종합적인 방안을 잘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인플레이션 우려로 당분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만큼 이로 인한 취약 계층의 부담을 줄일 방안도 함께 요구했다. 이에 따라 새 정부 출범 이후 진행될 추경 규모에 대한 고민은 더 깊어졌다.
윤 당선인은 이날 서울 통의동 인수위에서 열린 간사단 회의에 참석해 “우리 경제의 복합 위기 징후가 뚜렷하고 특히 물가가 심상치 않다”며 “국민이 체감하는 생활은 굉장히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고 발언했다. 새 정부의 초대 내각 인선을 일단락한 만큼 “첫째도 민생이고 둘째도 민생”이라며 다시 경제 현안 챙기기에 나선 것이다.
윤 당선인이 물가 안정을 촉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달 6일 인수위로부터 물가 동향을 보고받은 직후에는 “물가를 포함해 민생 안정을 새 정부 최우선 과제로 삼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이후 발표된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1%로 10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자 물가 안정을 재차 강조하고 나선 것이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 대책 마련도 주문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이후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상하면서 전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13조 원 증가했다. 이날 윤 당선인은 “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더라도 이에 따른 취약 계층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도 잘 검토해주기를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인수위는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등과 바로 긴급 간담회를 열고 취약 계층의 이자 부담 경감 방안을 검토했다. 한은과도 만나 물가 상승 요인 점검과 대책, 대내외 거시경제 여건 점검 등을 논의했다. 원일희 인수위 수석부대변인은 “금융위·금감원과 금리 상승에 따른 시중금리 동향을 점검하고 서민과 소상공인 금융 부담을 줄일 방안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