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영끌족 '곡소리'… 주담대 금리, 13년만 7% 돌파한다

주담대 변동금리, 3개월 새 0.272%p↑

주담대 7%대는 2009년 이후 13년 만





올해 기준금리가 최소 2.0%대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되면서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금리 상단이 7%대에 올라설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점쳐진다. 이는 약 13년 전 수준의 대출금리와 같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이 18일부터 적용 예정인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420∼5.342%다. 지난해 말 3.710∼5.070%를 기록했던 점과 비교하면 3개월 사이 상단이 0.272%포인트(p) 오른 수준이다. 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수신(예금)금리와 시장금리 상승 등에 따라 같은 기간 1.55%(신규 코픽스 기준)에서 1.72%로 0.17%p 오른 점이 영향을 미쳤다. 3월 기준 신규 코픽스 역시 한 달 새 1.70%에서 1.72%로 0.02%p 올랐다.

관련기사



주담대 혼합형(고정형) 금리는 연 3.600∼4.978%에서 3.900∼6.380%로 뛰었다. 상단이 1.402%p나 급등했다. 주담대 고정금리의 지표로 주로 사용되는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가 같은 기간 2.259%에서 3.428%로 1.169%p 올랐기 때문이다. 신용대출의 경우 1등급 1년 만기를 기준으로 3.532∼5.180% 금리가 적용된다. 지난해 12월 말(3.500∼4.720%) 5%도 안 됐던 금리가 상단이 0.460%p 뛰면서 5%대를 넘어섰다.

금융권에서는 대출금리 오름세는 적어도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인플레이션 압력과 미국 통화 긴축 등에 대응해 연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는 기조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장금리도 오를 가능성이 크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2.00% 이상으로 오르면 은행권의 주담대 금리도 7~8%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며 “주요국 금리 인상 속도에 따라서는 3분기까지 2차례 추가 인상이 앞당겨 이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A은행의 내부 주택담보대출 금리 통계에 따르면 2007년 9월 7%를 넘어 2008년 12월 8.4%로 정점을 찍고 2009년 다시 7%대로 내려왔다. 올해 주담대 금리가 다시 7%대를 기록할 경우 2009년 이후 13년 만에 7%대에 진입하게 되는 셈이다.

다만 최근 가계대출 증가율이 둔화되면서 은행들이 금리를 인하하는 추세인 점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장의 우려만큼 대출금리가 급등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은행권의 다른 관계자는 “이미 기준금리 상승 가능성 등이 시장 금리에 선반영돼 있다”며 “대부분 대출자가 우대금리 혜택을 받고 있어 실제 체감하는 금리는 은행권 최고 금리보다 낮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