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금리 단번에 0.75%P 인상론도

'강성 매파' 불러드 연준 총재

"연말 기준금리 3.5% 도달 이상적"

경기침체 우려엔 시기상조 일축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 대표적 ‘매파’ 인사인 제임스 불러드(사진) 세인트루이스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연준이 한 번에 금리를 75bp(1bp=0.01%포인트) 올리는 것도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18일(현지 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불러드 총재는 한 행사에서 앨런 그린스펀 전 연준 의장이 1994년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한 후에도 경제가 장기간 호황을 누렸다며 “75bp 인상이 저의 기본 가정은 아니지만 배제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불러드 총재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때도 0.5%포인트 인상의 소수 의견을 낸 인물이다.

불러드 총재는 또 ‘테일러 준칙’을 인용하며 연말에 미국 기준금리가 3.5%에 도달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말했다. 테일러 준칙은 존 테일러 스탠퍼드대 교수가 물가와 실업률, 중립금리 추정치 등을 활용해 만든 기준금리 가이드라인이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0.25~0.5%다.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에 대해서는 연준이 이제 금리를 한 번 올렸을 뿐이라며 시기상조라고 일축했다.

FOMC 투표권을 가진 인사가 0.75%포인트 인상을 언급하자 미 국채금리는 들썩였다. 이날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2.884%까지 치솟았다가 소폭 낮아져 2.856%에 장을 마쳤다. 이는 2018년 12월 이후 3년 4개월 만에 최고치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