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메디톡스, 내성 발현 가능성 낮춘 '코어톡스' 量産체제 구축

오창3공장 제조소 추가로 대량생산 체제 가동

"내성 관삼 커진 시장 흐름 맞춰 매출·인지도 다 잡겠다"





메디톡스(086900)가 ‘코어톡스’의 대량 생산 체계를 완비하고 최근 급성장한 내성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메디톡스는 비독소 단백질을 제거해 내성 발현 가능성을 낮춘 국내 유일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코어톡스 대량 생산에 돌입했다고 20일 밝혔다. 메디톡스는 과거 오창 1공장에서만 코어톡스를 생산했다. 여기에 지난해 말 승인된 3공장 제조소를 최근 본격 가동하면서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

관련기사



코어톡스는 메디톡스가 2016년 개발한 제품으로 900kDa(킬로달톤)의 기존 톡신 제제에서 내성 유발 원인 중 하나인 비독소 단백질을 제거해 150kDa의 신경독소만 담았다. 국내에선 유일하고 전세계에서는 두 번째로 개발된 톡신 제제다. 감염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균주 배양 과정에서 비동물성 배지만 사용하고, 사람혈청알부민(HSA)을 안정화제로 사용하지 않은 것도 장점이다.

메디톡스는 연간 6,000억 원 이상의 생산 규모를 갖고 있는 3공장에서 ‘메디톡신’ 생산에만 주력해왔다. 하지만 톡신 시장이 성장하면서 내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짐에 따라 해당 시장 공략을 위해 지난해 말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3공장에 대한 코어톡스 제조소 추가를 승인 받았다. 이를 통해 메디톡신과 코어톡스의 ‘투톱’ 생산 체계를 완비했다.

주희석 메디톡스 부사장은 “현재 보툴리눔 톡신 시장이 가격에 따라 양분돼 있지만 앞으로는 내성을 유발하는 비독소 단백질 제거 유무가 시장을 재편하는 새 척도가 될 것”이라며 “코어톡스 대량 생산을 통해 매출 상승과 기업 인지도 제고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겠다”고 말했다. 또 "고용량 시술 증가로 내성 유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코어톡스는 해당 영역에서 최적의 치료 옵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메디톡스는 기존 보툴리눔 톡신 제제와 더불어 신규 보툴리눔 톡신 제제 개발에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최근 메티톡스 계열사 메디톡스코리아가 ‘MBA-P01’ 국내 임상3상 시험을 종료하고 5월 중 허가 신청을 예고하기도 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