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尹당선인, 관저로 외교장관 공관 유력 검토

"취임 맞춰 바로 입주는 어려울듯"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임시 관저를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을 리모델링해 마련하는 것으로 구상 중인 가운데 20일 오후 다수 공관이 들어서 있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 공관 입구의 모습./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임시 관저를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을 리모델링해 마련하는 것으로 구상 중인 가운데 20일 오후 다수 공관이 들어서 있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 공관 입구의 모습./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새 관저로 서울 용산구 한남동 외교부 장관 공관을 유력 후보지로 놓고 본격적인 검토에 나섰다.



인수위 관계자는 20일 "외교부 장관 공관을 대통령 관저로 사용하는 것을 가장 합리적인 대안으로 보고 검토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당초 후보지로 검토됐던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은 경호·의전 문제나 리모델링 기간 등을 고려한 결과 후순위로 밀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그곳(육군참모총장 공관)이 1975년도에 지어져 너무 노후화 돼 종합적으로 많은 불합리한 점이 발견됐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최지현 인수위 수석부대변인도 브리핑에서 "경호나 의전, 리모델링 기간,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육군참모총장 공관이 불합리한 점이 많은 걸로 확인돼 대안으로 외교장관 공관을 검토하기 시작했고 다른 대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 외교장관이 공관을 사용 중이기 때문에 윤 당선인이 5월 10일 취임일에 바로 입주하는 것은 어려울 전망이라는 것이 인수위 측 설명이다.

원일희 인수위 수석부대변인은 "외교장관 공관으로 설사 (관저가) 최종 결정되더라도 5월 10일 취임식에 맞춰 바로 입주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게 상식적 추론"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정 기간 현 서초동 자택에서의 출퇴근은 불가피할 것으로 연동돼 예상이 된다"고 말했다.

한편 한남동 공관촌에 있는 해병대 사령관 관저는 경호동으로 사용되는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