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카드

"코로나19 중 40대 이상 연령층, 온라인 업종 이용 증가"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 연령·지역별 소비 트렌드 변화 분석





코로나19를 거치며 온라인업종 전체와 배송·디지털 컨텐츠·간편결제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4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이용 증가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업종 이용 증가율이 60대 이상 142%로 늘어나는 등 디지털 소외 계층으로 인식되던 노년층의 온라인 업종 이용이 증가한 모습이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자사 고객의 소비데이터를 토대로 코로나19 환경 및 디지털경제 가속화에 따른 관련 소비 변화를 연령과 지역 등에 따라 분석해 21일 공개했다.



이번 데이터 분석 대상은 온라인 업종 전체와 대표적인 디지털 소비 업종인 배달앱·신선식품몰, OTT·음원 스트리밍, 간편결제서비스로 2019년과 2021년을 신한카드 이용 기준으로 비교한 것이다.

관련기사



온라인 업종 전체의 연도별 이용 추이를 살펴보면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전년대비 이용 증가율은 각각 14%, 23%, 22%로 나타나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온라인 업종의 2019년 대비 2021년 연령별 이용 증가율의 경우 20대는 45%, 30대 63%, 40대 84%, 50대 110%, 60대이상 142%로 전체 71% 대비해 40대 이상의 연령층의 이용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동 기간 동안의 지역별 이용 증가율의 경우 서울 76%, 경기 78%, 광역시 65%, 그 외 지역 61%로 수도권의 이용 증가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배달 및 신선식품 배송 서비스도 같은 기간 동안 4050세대의 이용 비중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배달앱의 경우 20대 이용 비중은 41%→30%, 30대는 39%→37%로 줄어든 반면, 40대는 15%→24%, 50대 이상은 5%→9%로 증가했다. 신선식품몰 이용 비중 역시 20대의 경우 11 →10%, 30대는 40%→32%로 줄어든 반면, 40대는 35%→37%, 50대 이상은 14%→21%로 증가했다. 코로나로 외식이 어려워지면서 집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져 중장년층의 이용이 늘어난 걸로 연구소측은 분석했다. 같은 기간 동안 배달앱의 지역별 이용 비중의 경우 큰 도시 중심으로 신규 서비스를 런칭하는 경향이 있는 배달앱의 특성상 수도권 비중이 53%→55%로 늘었다. 신선식품몰의 지역별 이용 비중의 경우 비수도권 이용 비중이 20% →22%로 증가, 서비스 대상 지역이 넓어지고 있는 현상이 반영됐다.

OTT 및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디지털 컨텐츠의 경우 과거 20대의 이용이 월등했던 것과 달리 타 세대의 이용이 증가했다. OTT와 음원 스트리밍 이용 비중의 경우 20대는 각각 44%→34%, 44%→37%로 줄어든 반면, 30대는 29%→31%, 29%→29%, 40대는 18%→22%, 20%→22%, 50대 이상은 9%→13%, 7%→11%로 증가했다. 지역별 이용의 경우 비수도권에서 OTT 이용 비중이 38%→41%, 음원 스트리밍 이용 비중은 41% →42%로 증가,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나 거리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비수도권의 이용이 증가한 걸로 봤다.

이커머스·모바일 쇼핑과 밀접한 간편결제에서도 중장년층의 비중이 늘어났다. 이용 비중 변화를 살펴보면 20대는 34%→29%, 30대는 35%→34%로 감소한 반면, 40대는 22%→24%, 50대이상은 9%→13%로 증가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코로나19 및 디지털 경제 가속화에 따라 우리 삶의 소비 행태가 얼마나 달라졌는지 금번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보다 자세히 알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소비행태 분석을 통한 다양한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지속 창출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