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몽골에 깃발 꽂은 CU, 200호점 오픈…서클K까지 인수

국제공항 인근 CU보양트오카점 개설

한 달에 5.6개씩 점포 확장…1위 굳건

한국형 편의점 모델 도입…차별화 상품

이건준(왼쪽) BGF리테일 대표와 간볼드 친저릭 센트럴 익스프레스 대표가 지난 20일 몽골 울란바토르 보양트 오카(Buyant Ukhaa)에 문을 연 CU 200호점 오픈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BGF리테일이건준(왼쪽) BGF리테일 대표와 간볼드 친저릭 센트럴 익스프레스 대표가 지난 20일 몽골 울란바토르 보양트 오카(Buyant Ukhaa)에 문을 연 CU 200호점 오픈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BGF리테일




편의점 CU가 몽골 진출 약 4년 만에 200호점을 달성하며 해외시장에서 점포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국내 유통 기업이 해외에서 200호점을 문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282330)은 이건준 대표가 지난 20일 몽골 울란바토르 보양트 오카(Buyant Ukhaa)에서 열린 CU 200호점 오픈식에 참석해 직접 현지의 사업 현황을 살피고 몽골 파트너사인 프리미엄 그룹의 간호약 아딜비시 회장, 센트럴 익스프레스의 간볼드 친저릭 대표와 향후 사업 전략 및 비전을 공유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문을 연 200호점은 ‘CU보양트오카점’으로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약 12km 떨어진 보양트 오카 국제공항 인근 주택가에 자리했다. CU가 울란바토르 외곽에 편의점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앞으로 출점 지역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CU는 몽골 시장에서 공격적인 점포 확장을 이어 왔다. 처음 진출한 2018년부터 100호점을 개점하기까지 약 26개월이 소요됐으나 200호점까지는 약 18개월이 걸렸다. 한 달에 약 5.6개씩 점포를 연 것으로 코로나 19 상황 속에서도 꾸준한 사업 실적을 이어 왔음을 보여준다.

몽골 CU는 최근 미국계 편의점인 서클K의 현지 점포까지 인수했다. 서클K는 CU보다 약 2개월 앞서 몽골 시장에 진출했지만, CU와의 경쟁에서 밀려나며 지난달 최종 사업 철수를 결정하고 현지 점포들을 센트럴 익스프레스에 매각했다.

CU는 이 같은 몽골 시장에서의 성장 배경으로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꼽았다. 한국형 편의점 모델을 통해 현지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CU는 김밥 같은 한국식 간편 식품을 비롯해 토스트, 핫도그 등 즉석조리 식품을 판매하고, 몽골식 찐빵인 보즈와 몽골 전통 만두 튀김인 효쇼르 등 현지 식품도 편의점 상품으로 개발해 현지화에 성공했다. 즉석원두커피인 GET 커피는 하루 평균 점당 200잔의 판매고를 올리며 몽골의 커피 문화를 주도했으며 코로나19 상황에 맞춰 편의점 배달 서비스도 도입해 1년 만에 누적 이용 건수 150만 건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 같은 성과에 힘입어 지난해 몽골 CU의 매출은 전년 대비 80%가량 신장했으며 이러한 실적을 바탕으로 센트럴 익스프레스는 작년 11월 몽골 증권거래소에 상장하며 몽골 기업공개(IPO) 사상 최대의 공모 금액(401억 투그릭)과 청약 인원(1만여 명)을 기록했다.

이건준 대표는 “몽골 CU 200호점 오픈은 해외 무대에서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서 승리해 대한민국 CU가 글로벌 스탠더드로 올라서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며 “CU는 대한민국 편의점 1등 브랜드로서 지난 30여 년 간 국내외에서 쌓은 성공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로운 해외시장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