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매일 피난짐'…우크라서 무한반복되는 치매 할머니의 공포

NYT "러의 우크라 침공, 노년층 어려움 더욱 커"

치매 환자 가족 "전쟁 이후 약 구하기 힘들어져 증상 악화"

호주에 거주 중인 올가 보이착씨가 우크라이나 서부 지역에 머무르는 할머니의 상황을 전한 트위터. 트위터 캡처호주에 거주 중인 올가 보이착씨가 우크라이나 서부 지역에 머무르는 할머니의 상황을 전한 트위터. 트위터 캡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인 돈바스에서의 침공이 본격화한 가운데, 치매를 앓고 있는 할머니가 매일 같이 피난짐을 챙기는 사연이 알려지면서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호주에 거주 중인 올가 보이착의 할머니는 80대로 우크라이나 서부의 작은 도시에 거주 중이다. 2차 세계대전을 겪은 할머니는 매일 아침 러시아군의 침공과 관련한 TV 뉴스를 볼 때마다 공포에 질린 채 피난 짐을 싸기 시작한다. 치매에 걸린 할머니에게는 러시아군의 침공을 전하는 TV 뉴스가 매일 아침 새로운 소식이다. 남편이 집 열쇠를 감추고, '집이 가장 안전하다'고 달래도 소용이 없다.

2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러시아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의 노년층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보도했다.

피난을 떠나거나 오히려 자원입대하는 젊은 층과는 달리 노년층은 집을 떠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올가 보이착의 조부모도 전쟁 이후 집에 남았다. 은퇴한 의사인 할아버지는 피난을 가야 한다는 자식들의 요청을 거부했다.

호주에 거주하는 손녀 보이착은 조부모와 매주 화상 전화를 하면서 근황을 전해듣고 있다. 보이착은 NYT에 "매일 할머니는 전쟁이 일어났다는 소식에 충격을 받고 피난 짐을 싼다"며 "가슴이 아프다"고 전했다.



보이착이 최근 할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트위터에 올리자 4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좋아요' 버튼을 눌렀다.

관련기사



NYT는 러시아군이 점령한 우크라이나 남부의 한 도시에 거주하는 82세의 치매 환자 리타의 사연도 함께 전했다.

최근 3년간 치매 증상이 악화한 리타는 현재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전쟁 중이고, 자신이 사는 지역이 러시아군에 점령됐다는 사실을 잊을 때가 많다. 함께 사는 손자가 자신의 외출을 막으면 화를 낸다.

가족들은 할머니의 부엌 출입을 막기 위해 자물쇠를 설치하기도 했다. 전쟁 후 식량 부족으로 최대한 절약해야 한다는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할머니가 한꺼번에 각종 재료를 아낌없이 사용하는 음식을 만들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에서 대피한 민간인들이 베지멘노예 마을의 임시 숙박시설에서 머물고 있는 모습. TASS연합뉴스우크라이나에서 대피한 민간인들이 베지멘노예 마을의 임시 숙박시설에서 머물고 있는 모습. TASS연합뉴스


리타의 손녀인 리자 보브첸코는 전쟁 이후 할머니의 증상이 악화했다고 전했다. 치매 환자에게는 매일 반복되는 일상이 중요하지만 전쟁 때문에 산책과 이웃과의 대화 등이 불가능해졌고, 약을 먹는 것도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최근 우크라이나 남부의 전투가 격화하면서 리타의 가족들도 결국 피난을 택했다.

NYT는 가족들과 함께 피난을 갈 수 있었던 리타와는 달리, 우크라이나 전역에는 나이와 각종 질병 탓에 자식들만 피난을 보내고 집에 남는 노년층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