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제일기획, “‘메타 포메이션’으로 광고 시장 주도”

유정근 대표, 메타버스 사업 방향 발표


제일기획(030000)이 메타버스, NFT(대체불가토큰) 등 새롭게 등장한 기술을 광고 등 주력 사업에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기존의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는 ‘메타-포메이션(Meta-formation)’을 새로운 사업의 핵심으로 삼아, 디지털 산업 변화를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제일기획은 21일 서울 용산 본사에서 16개 증권사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디지털 사업 전략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된 이번 설명회에서 유정근 대표가 그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성과 및 발전 방향을 설명하고, 홍상우 디지털테크본부장이 메타버스, NFT 등 가상 마케팅 시장 환경과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관련기사



유 대표는 이 자리에서 지난해 전체 실적에서 디지털 비즈니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50%까지 늘어났던 만큼 올해도 ‘퍼포먼스 기반 마케팅’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회사의 데이터 및 테크 역량을 강화하는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하겠대는 뜻을 밝혔다. ‘퍼포먼스 기반 마케팅’은 판매 증진, 업무 효율화 등 고객사의 비즈니스 성장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하는 마케팅을 일컫는다.

유 대표는 “메타버스 시대를 새로운 사업 기회로 삼고 ‘메타-포메이션’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메타버스 관련 조직을 구축했고, 올해는 국내외 메타버스 전문기업과의 파트너십이나 투자 등을 통해 콘텐츠 제작 역량을 확보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메타버스, 대체불가토큰(NFT) 등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광고 산업이 변화하는 것은 사업 영역 확대의 기회”라며 “글로벌과 디지털을 초월하는 ‘메타-포메이션’을 통해 차원이 다른 거대한 산업 변화를 주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홍 본부장은 ‘메타-포메이션’의 4가지 기회 영역으로 △버츄얼 프로덕션 △디지털 휴먼 △가상 공간형 메타버스 플랫폼 △NFT를 소개하고 각 시장 상황과 제일기획의 사업 추진 방향을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메타버스 등 디지털 콘텐츠 관련 전문 역량을 보유한 국내외 우수 기업에 대한 투자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