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러시아 보이콧’ 동참한 홍남기 “美에 대러 제재 동참 의지 전달”

홍 부총리 "국제공조 동참 필요성·한국의 독특한 여건 종합 판단"

美재무에 "대러제재·IPEF 적극 참여 의지 전달"…옐런 "한미동맹 견고"

G20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현지시간) 워싱턴 특파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G20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현지시간) 워싱턴 특파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항의 표시로 국제통화기금(IMF) 회의에서 퇴장했다. 전날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는 자리를 떠나지 않았으나 이날은 서방 진영과 더불어 러시아에 대한 국제 공조 의지를 확실히 드러냈다. 홍 부총리는 다만 선진국과 신흥국의 소통 창구인 G20는 여전히 세계 경제 문제를 풀어낼 유일한 창구라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회의를 마친 뒤 워싱턴 특파원들과 만나 이날 회의에서 러시아의 연설을 사실상 보이콧 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홍 부총리에 따르면 이날 회의장 원탁 앞줄에 앉은 18개국 장관, 6개 국제기구 수장 중에서 3분의 2인 12개국 장관, 4개 국제기구 수장들이 러시아의 발언이 시작되자 동시에 회의장을 이탈했다. 회의장을 이탈하지 않고 남아있던 국가는 스페인, 인도, 인도네시아, 스위스, 브라질, 나이지리아 등이다,

홍 부총리는 전날과 달리 이날 퇴장에 동참한 이유에 대해서 “어제 회의에선 국가간 행동에 대한 예측 내지 반응이 잘 조율되지 않았다고 생각된다”며 "오늘은 어제 현상에 대한 경험도 했고, 오늘 회의 진행과정을 각자 판단하면서 대다수가 퇴장하는 형태로 나타나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또 전날 옐런 미국 재무장관과 만나 대러 제재와 관련해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동참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아울러 미국이 아시아 일대에서 추진하는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에 대해서 “한국 정부가 적극 참여할 의지가 있다는 의사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3년 5개월 동안 재직한 최장수 경제 부총리로서의 소회를 묻는 질문에는 부동산 시장을 재차 우려했다. 그는 "작년부터 부동산시장 하향 안정화 추세를 이어갔으나 최근 다시 가격이 올라가는 등 걱정이 크다"면서 “다음 정부에 더 좋은 환경을 물려주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또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푸어스(S&P)의 고위급 인사들과 만나 코로나19, 우크라이나 사태 등이 한국 경제에 미칠 파장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글로벌 경제를 긴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 늘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