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洪 "재정 지속가능성 유지 위해 재정준칙 마련 필요"

S&P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 면담

"거리두기 해제에 펜데믹 영향 제한적"

"공급망·전쟁 충격 대응 방안 검토 중"

"中 제로코로나 현재까지는 타격 적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현지시간) 국제신용평가사 S&P사와 면담에 앞서 로베르토 싸이폰-아레발로 국제신용등급 글로벌 총괄과 악수하며 인사를 나누고 있다.사진제공=기획재정부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현지시간) 국제신용평가사 S&P사와 면담에 앞서 로베르토 싸이폰-아레발로 국제신용등급 글로벌 총괄과 악수하며 인사를 나누고 있다.사진제공=기획재정부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재정의 지속가능성 유지를 재정준치 마련 등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홍 부총리는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국제신용평가사 S&P의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 로베르토 싸이폰-아레발로와의 주요 현안 논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팬데믹 대응 과정에서 증가한 재정적자·국가채무 등을 감안시 향후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재정준칙 마련 등 정부 차원의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P와의 면담은 지난해 11월 연례협의 이후 약 5개월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글로벌 총괄과는 코로나19 이후 첫 대면 면담이다. S&P의 올해 신용등급 평가·발표는 올해 2분기 중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홍 부총리는 지난 18일부터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전면 해제함에 따라, 팬데믹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답변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는 전쟁이 성장률 저하 및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등 글로벌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 혼란과 전쟁의 충격에 대한 정책 대응이 시급하다는 인식하에 한국 정부도 대응 방안을 검토중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홍 부총리는 중국에 자동차 등 한국기업들의 생산기지가 위치한다는 점 등을 고려할 시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이 한국경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는 있으나, 현재까지 큰 타격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답변했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