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文, 권력욕 없이 홀로 새로운 세계 도달" 靑 비서관 소회

보직이동 없이 文 옆 지켜

“권력을 나누는 일, 우리에게 너무 이른지 모른다”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신동호 청와대 연설비서관은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권력욕 없이 새로운 세계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고, 홀로 그렇게 했다”고 밝혔다.

신 비서관은 24일 페이스북을 통해 “(문 대통령에 대해) 너무 착하다고 한다. 그렇지 않다”며 “권력으로만 할 수 있다. 권력에 취한 목소리들 안에서 오직 마음을 얻기 위해 다른 삶을 살았을 뿐”이라며 이같이 적었다.



그는 “성패는 그 시대의 것이 아니고, 객관적이지도 않다. 동기의 순수성만이 시대를 관통해 가치를 만든다. 같은 사건에 대한 다른 기억, 같은 말에 대한 다른 해석. 그 앞에 성패를 묻는 일은 부질없다”면서 “그는 정직, 성의, 지극으로 하루하루 실천했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신 비서관은 이건창, 정인보, 이회영 등 조선 후기 강화학파 학자들을 나열하며 “시작과 끝을 오직 진실과 양심에 호소하셨다”며 “자신의 양지를 배반할 수 없어 한 세상을 밀고 나갔다”고 썼다. 이어 그는 “다른 모습으로 산다는 것은 말로 가능하지 않다. 오직 태도다. 그는 몸에 밴 그대로 했다. 권력을 나누는 일이 우리에게 너무 이른지 모른다”며 “그는 국민을 주인으로 섬기며 고개 숙이고, 믿었다. 평범함이 가진 위대함, 법 없이도 살 사람들의 세상”이라고 밝혔다.

신 비서관은 루마니아 출신 작가 헤르타 뮐러의 노벨문학상 수상소감 일부를 발췌해 올리며 ‘태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누군가 한 사람, 품위를 잃지 않고 있다면 우리는 갈 수 있다”며 “다른 모습으로 사는, 수많은 평범함들에게 용기가 된다”고 썼다. 이어 “들풀과 대화하며 아무것도 아니게 사는 일, 그것은 권력욕 없이 새로운 세계에 도달하기까지 남겨진 한 걸음이다”라며 “시작과 끝에 오직 진실과 양심을 남겨두는 일이다. 우리의 품위가 잘 지켜지도록, 스스로 삼가는 일이다. 그는 인내한다”고 전했다.

신 비서관은 “대통령을 다 알 수는 없다. 8년 가까이 주변을 서성이며 느낀 저의 마음일 뿐”이라며 "저는 이제 작은 방으로 돌아간다. 모든 것이 그대로 있어 주기에는 좀 먼 길이었다"고 적었다.

한편 신 비서관은 문 대통령 취임과 함께 청와대 연설비서관에 임명돼 지금까지 보직이동 없이 근무해왔다. 그는 강원고 3학년 학생이던 1984년 ‘오래된 이야기’로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등단한 시인이다. 특히 신 비서관은 한양대 국문과 재학 당시 1년 후배인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과 함께 학생운동을 한 이력이 있다.


김지선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