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두산에너빌리티, 美에 SMR 공급 본궤도

아이다호에…뉴스케일파워와 협약

박지원(왼쪽) 두산에너빌리티 회장과 존 홉킨스 뉴스케일파워 사장이 25일 서울 동대문 두산타워에서 SMR 제작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두산에너빌리티박지원(왼쪽) 두산에너빌리티 회장과 존 홉킨스 뉴스케일파워 사장이 25일 서울 동대문 두산타워에서 SMR 제작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034020)가 차세대 원전으로 꼽히는 소형모듈원전(SMR)의 제작을 본격화한다.

25일 두산에너빌리티는 서울 동대문 두산타워에서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과 존 홉킨스 뉴스케일파워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SMR 제작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2029년 준공을 목표로 뉴케일파워가 미국 아이다호주에 추진 중인 UAMPS (Utah Associated Municipal Power Systems) 프로젝트에 공급할 SMR 본제품 제작에 나선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올해 하반기 SMR 제작에 사용되는 대형 주단 소재 제작을 시작하고 2023년 하반기 SMR 본제품 제작에 돌입할 예정이다. 회사는 국내 투자사들과 함께 뉴스케일파워에 1억 380만달러 지분을 투자하며 수 조원 규모 기자재 공급권을 확보한 바 있다. 2019년에 뉴스케일파워로부터 SMR 제작성 검토 용역을 수주 받아 2021년 1월 완료했고, 현재 시제품을 제작하고 있다.

뉴스케일파워 SMR은 1기단 77MW의 모듈을 최대 12대 설치할 수 있어 총 924M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2020년 SMR 모델 중 처음으로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설계 인증 심사를 최종 완료했다.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은 “두산에너빌리티는 뉴스케일파워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지속 강화하고, SMR 제작을 위한 준비도 빈틈없이 진행해 왔다”며 “앞으로 SMR 제작 물량이 본격 확대되면 협력사들의 참여 기회도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존 홉킨스 뉴스케일파워 사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기기 제작 능력을 보유한 두산에너빌리티가 뉴스케일 SMR 상용화에 크게 기여하리라 기대한다”고 했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