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사과 요구 응답한 조국에 박지현 “감사…내 편에 더 엄격해야 했다”

박지현 요청에 조국 “법원 판결에 이견 있지만 존중하고 수용”

조국 즉답에 박지현 “尹 정부 장관 후보자 지적 위해 불가피했다”

“미성년 논문 공저자 전수조사 해야…공직 후보자만 처벌 부당”

박지현(왼쪽)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25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성형주 기자박지현(왼쪽)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25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성형주 기자





박지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25일 조국 전 장관에게 “사과를 해줘서 감사하다”고 전했다. 앞서 박 공동비대위원장은 조 전 장관과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에게 대법원 판결에 대해 사과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조 전 장관은 박 공동비대위원장의 발언을 접한 직후 “이견이 있지만 법원의 판단을 존중하고 수용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박 공동비대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개인 박지현이 아니라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단호한 입장에 서지 않을 수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저 역시 정 전 교수가 딸 소식을 듣고 병원으로 이송됐다는 소식에 울컥했다”며 “하지만 대법원 판결로 확정된 사실을 제1당 공동대표에 있는 제가 부정할 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박 공동비대위원장은 윤석열 정부의 장관 후보자들의 잘못을 지적하기 위해 조 전 장관의 사과가 불가피 했다는 입장이다. 그는 “우리가 최소한의 윤리의식도 없이 폭주하는 새 정부 장관 후보자들의 잘못을 지적하고 사회 전반에 공정한 잣대를 적용하려면 조 전 장관의 포괄적 사과가 아니라 대법원 판결로 확정된 위법 사항에 대한 명확한 사과가 필요했다”며 “인사청문회 때마다 반복되는 불공정과 편법·비리를 보며 소외감과 절망감에 빠진 청년 세대들을 대신해 누군가는 해야 할 말을 했다는 점을 이해해 달라”고 전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자기 편은 무조건 감싸는 맹목적인 진영논리와 내로남불에서 벗어나기 위해 내 편에 더 엄격해야 하는 것은 공당의 대표로서 어쩔 수 없었다”라며 “그래야 상대방의 비판에서 떳떳하고 자유로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공동비대위원장은 조 전 장관 자녀 입시비리에서 문제가 됐던 미성년 논문 공저자 문제를 전수 조사 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이번 기회에 새로운 기준을 세워야 한다”며 “공직에 나갔다는 이유 만으로 단죄하고 공직에 나가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넘어가는 것도 우리가 해결해야 할 불공정”이라고 지적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지난해 교육위원회 위원인 서동용 민주당 의원의 자료를 보면 서울대학교에 제출된 논문 중 미성년 공저자 검증 대상 논문 64건 중 22건이 연구 부정 판정을 받았다”며 “이 중 절반 정도가 서울대 교수 자신이나 동료 교수의 자녀를 논문에 등재한 사례”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2019년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7년 이후 10년간 50여 개 대학에서 87명의 교수가 139건의 논문에 자녀를 공저자를 기재하기도 했다”며 “필요하다면 교육부가 공립·사립학교 할 것 없이 전국의 모든 대학을 전수조사 해서 다시는 이런 잘못된 관행과 편법을 저지르지 못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