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화학, KIST와 탄소중립 기술 상용화 위한 공동연구실 출범

CO₂ 활용한 에틸렌 생산 기술 등

원천 기술 확보 및 상용화 시동

유지영(왼쪽) LG화학 최고기술경영자(CTO) 부사장과 윤석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이 26일 성북구 KIST에서 탄소중립 기술 조인식을 열고 협약서를 함께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유지영(왼쪽) LG화학 최고기술경영자(CTO) 부사장과 윤석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이 26일 성북구 KIST에서 탄소중립 기술 조인식을 열고 협약서를 함께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탄소중립 기술 상용화를 위한 공동연구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LG화학과 KIST는 26일 KIST 서울 본원에서 탄소중립 기술 개발을 위한 기술이전 협약식 및 공동연구실 현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양측은 지난해 4월 탄소중립 및 수소 에너지 기술의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유망 탄소중립 기술 과제 10개를 도출했다. 이중 상용화 가능성과 시장 파급력 등을 고려해 ‘이산화탄소(CO₂)를 활용한 에틸렌의 전기화학적 생산 기술’과 ‘바이오매스·부생가스를 활용한 유기산의 생물학적 생산 기술’ 이전을 위한 공동연구실을 출범하기로 결정했다.

‘CO₂를 활용한 에틸렌의 전기화학적 생산 기술’은 전기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직접 PVC 등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로 쓰이는 에틸렌으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이 상용화 될 경우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경제성 높은 에틸렌까지 직접 생산할 수 있어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매스·부생가스를 활용한 유기산의 생물학적 생산 기술’은 KIST가 독자적으로 발굴한 원천기술로 전세계적으로도 아직 상업화되지 않았다. 이 기술은 발효당과 같은 바이오매스나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활용해 친환경 소재 생산에 필수적인 원료를 생산할 수 있게 해준다. 사탕수수나 옥수수 외에도 농업이나 임업에서 나오는 나무 폐기물 등을 원료로 확장할 수 있어 식량자원 보호와 탄소배출 저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유지영 LG화학 CTO 부사장은 “국내 최고 수준의 탄소중립 기술을 보유한 KIST와 협력을 통해 관련 원천 기술 확보와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LG화학은 지속가능성을 선도하는 과학기업으로 탄소중립 관련 혁신 기술과 R&D 역량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