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 AI연구원, 서울대와 '초거대 인공지능' 핵심 기술 연구

SNU-LG AI 리서치센터 25일 현판식 개최

'초거대 멀티모달' AI 핵심 기술 연구

LG AI연구원과 서울대 관계자들이 25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진행된 'SNU-LG AI 리서치센터' 현판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송준호 서울대 교무부장, 이경무 서울대 주임교수, 최해천 서울대 연구부총장, 배경훈 LG AI연구원장, 서정연 LG AI연구원 인재육성위원장, 김승환 LG AI연구원 비전랩장. 사진제공=LG그룹LG AI연구원과 서울대 관계자들이 25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진행된 'SNU-LG AI 리서치센터' 현판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송준호 서울대 교무부장, 이경무 서울대 주임교수, 최해천 서울대 연구부총장, 배경훈 LG AI연구원장, 서정연 LG AI연구원 인재육성위원장, 김승환 LG AI연구원 비전랩장. 사진제공=LG그룹




LG AI연구원은 서울대 AI대학원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 ‘SNU-LG AI 리서치센터’를 열고 25일 현판식을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리서치센터는 두 기관의 공동 연구 거점으로 이경무 서울대대학원 AI 전공 주임교수와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공동 센터장을 맡는다. 인공지능(AI)이 가상 공간에서 스스로 3차원 신체를 생성하고 움직임을 구현하는 3차원(3D) 생성 기술을 다루는 ‘초거대 멀티모달(Multimodal)’ AI 핵심 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LG AI연구원과 서울대는 초거대 멀티모달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8개 공동 연구 과제를 선정했다. 이 주임교수는 LG AI연구원과 함께 이미지나 짧은 영상 만으로도 특정 인물의 전신 형상과 움직임을 만들 수 있는 3차원 생성 기술을 연구한다. 또 인간의 언어 학습 구조를 모사해 외부 정보를 스스로 학습한 뒤 판단하는 차세대 언어모델도 공동 연구하기로 했다.

이밖에 도표나 그래프, 시·청각 정보가 담긴 동영상, 온도와 같은 촉각 기반 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인간처럼 학습하고 활용하는 멀티모달 AI도 연구한다. AI 상용화의 필수 요소인 AI 윤리 관련 편향성·형평성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날 현판식에서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최고 수준의 AI 연구 역량을 보유한 서울대와 함께 세상에 없던 새로운 AI 기술에 도전하고 멀티모달 AI 공동 연구를 통해 명실상부한 글로벌 초거대 AI 강자로 거듭남과 동시에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