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TSMC 56% vs 삼성 16%…파운드리 점유율 5%P 더 벌어진다"

트렌드포스 "TSMC 3%P 오르고, 삼성 2%P 하락"

진격의 대만 업체들…올 점유율 66%로 상승 전망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 라인. 서울경제DB삼성전자 반도체 생산 라인. 서울경제DB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세계 1위 기업인 대만 TSMC와 2위 기업인 삼성전자(005930) 간의 시장 점유율 격차가 올해 5%포인트 더 벌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의 반도체 전문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올해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 규모가 지난해보다 19.8% 늘어난 1287억 8400만 달러(한화 약 161조 원)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1위 TSMC의 매출 기준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53%에서 올해 3%포인트 더 오른 56%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지난해 18%에서 올해 16%로 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TSMC의 점유율 상승에 따라 TSMC와 UMC, PSMC 등 대만 파운드리 기업들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64%에서 올해 66%로 2%포인트 더 상승할 것으로 관측했다. 이에 반해 삼성전자와 DB하이텍(000990) 등 국내 파운드리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18%에서 올해 17%로 1%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진단했다.

세계 메모리반도체 1위 기업인 삼성전자는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도 2030년까지 세계 1위에 오르겠다는 포부를 지난 2019년 밝혔다. 하지만 총수 부재, 공정 수율 문제 등으로 TSMC와의 격차를 좀체 좁히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파운드리 시장점유율도 18.3%로 TSMC(52.1%)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TSMC는 나아가 2024년까지 미국 애리조나주에 반도체 생산 공장 5개를 추가로 짓는 등 3년간 1000억 달러(약 113조 원)를 투자해 설비를 늘리겠다고 나선 상태다. 그 사이 삼성전자는 상대적으로 투자 적극성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미국 인텔까지 파운드리 사업을 재개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시장 점유율은 더 쪼개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