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S&P "韓, 강하고 빠르게 성장…신용등급 'AA, 안정적' 유지"

"제조업 수요 견고…투자·수출 성장세 이어질 것"

재정 부담 요인으로 北 리스크·공기업 채무 지적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하고, 등급 전망도 기존과 같은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북한 관련 리스크와 공기업 채무가 한국 재정건전성의 부담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2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S&P는 “한국 경제가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보다 강하고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며 국가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S&P는 2016년 8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한 이후 이를 유지해오고 있다.

관련기사



등급 전망도 기존과 같은 ‘안정적’으로 부여했으며, 단기 국가신용등급 역시 ‘A-1+’를 유지했다. S&P는 “견고한 제조업 수요가 수출과 투자 성장세로 이어질 것”이라며 “최근의 고용 개선세도 가계소득과 내수소비 제고에 도움이 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S&P는 한국의 재정상황이 견고하다고 평가하면서도 북한 관련 리스크와 공기업 채무는 관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S&P는 “일반정부 재정적자가 오는 2023년까지 축소한 뒤 2024년부터는 흑자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통일 비용 등 북한 리스크와 공기업 채무는 재정건전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국 경제가 지금과 같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령화와 가계부채에 촉각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S&P는 “고령화에 대응한 생산성 제고가 경쟁력 유지의 관건”이라며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도 민간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북한과 관련한 잠재적 안보위협이 여전히 신용등급 평가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세종=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