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통상업계 "탈탄소·디지털 대응 위해 日과 협력 강화해야"

정부, FTA 전략포럼 개최.. 신통상의제 논의

통상교섭실장 "아태 시장에서 한국과 일본 역할 중요"





주요국의 ‘자원 무기화’ 등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응해 일본과 탈탄소 등을 중심으로 경제협력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아태 통상 시대에서의 일본의 경제안보전략’을 주제로 3차 자유무역협정(FTA) 전략포럼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FTA 전략포럼은 산업부가 공급망·디지털·기후변화 등 주요 신 통상 의제를 중심으로 새로운 FTA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올 2월 발족한 포럼이다.

관련기사



전윤종 산업부 통상교섭실장은 “세계적인 공급망 위기가 심화하고 글로벌 통상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아태 통상질서 내 한국과 일본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며 “우리나라가 개방된 아태 통상질서 형성에 기여해나가는 과정에서 공동이익에 부합하도록 일본과 미래지향적 경제협력 관계를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한 전문가는 “일본이 경제안전보장전략의 일환으로 수출통제 등을 통한 핵심 산업 경쟁력 확보, 반도체·배터리 등 주요 산업의 공급망 강화,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을 통한 동맹국과의 국제협력을 중점적으로 추진 중”이라며 “급변하는 아태 통상질서와 경제안보 시대에 한국과 일본이 실용적인 경제협력을 추진함으로써 탈탄소, 디지털과 같은 분야에서 차세대 산업협력 관계를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산업부는 메가 FTA와 농축수산업, IPEF의 주요 쟁점 등을 주제로 올해 FTA 전략포럼을 몇 차례 추가로 개최해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FTA 전략을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