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경북·충남과 태실 세계유산 등재 공동 추진

가평 중종태실가평 중종태실




경기도가 조선 왕실 태실(胎室) 연구 및 보호 활동이 활발한 경상북도, 충청남도와 손잡고 국내 태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공동 추진한다.



도는 26일 경기문화재단에서 조선 왕실 태실(胎室)의 세계유산적 가치 발굴 및 확산을 위해 경상북도, 충청남도와 각 문화재연구원(경기문화재연구원·경북문화재연구원·충남역사문화연구원)이 참여하는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한 뒤 길지를 선정해 그 태(태반과 탯줄)를 봉안하는 공간으로, 일제강점기와 산업화를 거치며 다수 사라졌지만, 경기도가 지난해 말까지 65개소의 실존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 회의는 2019년 이후 도내 태실에 대한 실태조사와 보호를 진행하고 있는 경기도가 태실 연구와 보호 활동이 활발한 경상북도와 충청남도에 협력사업을 제안하면서 마련됐다.

관련기사



각기 다른 광역자치단체 문화유산의 관리·보호를 담당하는 과장과 태실 조사에 참여했던 문화재연구원 관계자 등이 함께 참석한 첫 회의로, 그동안의 태실 조사와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방향을 모색했다.

발표자로 나선 김종헌 경기문화재연구원 선임연구원은 2020년 경기도내 태실·태봉의 실태조사 성과와 2021년 광주 원당리 발굴조사를 통해 태함 3기가 조성된 독특한 사례를 발표했다.

이동철 경북문화재연구원 팀장은 2016년 이후의 조사 성과와 지정현황, 경북의 태실분포를 설명했다. 김회정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015년부터 시작된 충청남도 관내 태실문화재 현황과 연구 성과, 각 도에 소재하고 있는 태실의 특징과 현황을 공유했다.

이희완 경기도 문화유산과장은 “경기도에는 세계유산인 조선왕릉이 40기 중 31기로 가장 많이 있다”면서 “태실에 대한 연구와 보호 노력을 기울인 3개 광역자치단체가 처음 함께한 회의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