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살려줘" 외치면 119 출동…KT 'AI 케어' 확대

KT AI 스피커 '기가지니'로

비상 발생시 24시간 구조

실제 응급상황 노인 구하기도

AI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스피커가 나주시보건소가 제작한 이동용 가방에 담겨 있다. 사진제공=KTAI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스피커가 나주시보건소가 제작한 이동용 가방에 담겨 있다. 사진제공=KT




KT(030200)가 고령화 시대 돌봄 인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인공지능(AI) 서비스를 확대한다. 27일 KT는 ‘ABC(AI·빅데이터·클라우드)’ 기반의 ‘AI 케어' 사업 확대를 밝혔다.

KT의 AI 케어 서비스 통합관제시스템 화면. 사진제공=KTKT의 AI 케어 서비스 통합관제시스템 화면. 사진제공=KT



KT AI 케어는 독거노인이 응급상황에서 “지니야 살려줘”라고 외치면 KT 텔레캅-119 연계 시스템을 통해 24시간 구조 가능한 서비스다. AI 케어는 AI 스피커 ‘기가지니 LTE2’를 통해 제공한다. 유선 인터넷을 설치하지 않은 가정에서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전남 나주시 봉황면 이경렬(오른쪽 첫번째) 어르신이 AI 스피커와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KT전남 나주시 봉황면 이경렬(오른쪽 첫번째) 어르신이 AI 스피커와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KT


KT AI 케어 서비스는 알림 기능 등을 바탕으로 실제 응급상황에 도움을 주고 있다. KT는 지난해 4월부터 광주광역시 등에 AI 케어 서비스를 선보여왔다. 올해 3월 전라남도 나주시에서 기가지니 LTE2 단말에 응급호출이 발생했다. KT 텔레캅-119 연계 대응으로 신속하게 출동해 노인을 구조할 수 있었다.

KT는 기가지니 LTE2 기반 AI 케어 서비스 외에도 케어로봇 다솜이·AI컨택센터(AICC) 등을 활용한 취약계층 돌봄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김영식 KT DX플랫폼사업본부장 상무는 "대한민국의 고령화·돌봄인력 부족 등 사회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AI 케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도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