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우크라와 손절하자"…발칵 뒤집어진 일본 무슨 이유

우크라 감사 인사 영상서 아시아 국가 빠져

우크라이나 정부가 감사 인사를 전하는 영상. 우크라이나 외교부 공식 트위터 캡처우크라이나 정부가 감사 인사를 전하는 영상. 우크라이나 외교부 공식 트위터 캡처




우크라이나 정부가 감사 인사를 전하는 영상에서 아시아 국가를 제외하자 개전 초기부터 우크라이나를 적극 도왔던 일본 내에서 비판 여론이 일고 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정부 공식 SNS에 파시즘(전체주의)을 상징하는 인물로 일본 쇼와 일왕(천황) 사진이 게시된 데 이어 지원국서도 빠지자 일각에선 우크라이나 지원을 그만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일본 후지뉴스네트워크에 따르면 지난 2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외교부 공식 트위터에 "어려운 시기에 지원해 준 파트너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다"는 내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해당 영상에는 우크라이나 군복을 입은 여성이 포탄으로 무너진 벽 외부를 바라보며 화분에 물을 주는 모습이 담겨 있다.



영상 오른쪽에는 우크라이나를 지원한 31개국 명단이 줄줄이 소개됐다. 명단에는 미국, 호주, 독일, 영국, 프랑스, 폴란드, 터키 등이 포함됐다.

관련기사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 초기부터 지원해 온 한국을 비롯해 일본·대만 등 아시아 국가들은 명단에서 제외됐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일본 네티즌들은 “우크라이나는 일본에 감사하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 지원은 필요 없다고 말하는 것인가”, “우크라이나 국민들에겐 미안하지만, 이 정도 인식이면 지원을 끊어도 좋은 것은 아닐까” 등의 반응을 보였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 특히 일본에서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는 이유는 일본이 아시아 국가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우크라이나를 도왔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 정부는 정부 전용기로 우크라이나 피란민을 이송하고 생활비 등을 지원했고, 미국 등 서방국과 함께 러시아 제재에도 적극 동참했다.

지난 24일 우크라이나 정부가 SNS에 올린 러시아 비판 영상도 여론 악화의 배경으로 꼽힌다.

당시 우크라이나 정부는 공식 SNS에 러시아 비판 영상을 게재하며 파시즘(전체주의)을 상징하는 인물로 독일의 히틀러 총통, 이탈리아 무솔리니 수상과 함께 일본 천황 사진을 올렸다가 일본 측 항의를 받고 뒤늦게 삭제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