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깜짝 장난감 상자'처럼 튀어올라…러 탱크 치명적 결함

별도 탄약고 없어 타격 받으면 내부 포탄 연쇄폭발

포탑이 장난감처럼 튀어올라…탑승자 생존 불가능

걸프전 때 설계결함 알고도 수십년 방치 손실 키워

러시아군 전차의 포탑이 분리된 채 나뒹굴고 있다. CNN 캡처러시아군 전차의 포탑이 분리된 채 나뒹굴고 있다. CNN 캡처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군의 전차가 500대 이상 손실된 것으로 파악되는 가운데, 미사일 등에 피격된 러시아군 전차의 포탑이 마치 ‘깜짝 장난감 상자(jack in the box)’처럼 튀어올라 분리된 모습이 잇따라 공개됐다.



지난 27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벤 월러스 영국 국방부 장관은 이달 25일 영국 의회에서 우크라이나 침공 후 약 9주간 러시아군이 약 580대의 전차를 손실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군사정보 사이트 '오릭스' 역시 4월 28일 기준으로 러시아군 전차 최소 300대가 파괴됐고, 279대가 버려지거나 손상·노획됐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소셜미디어서비스(SNS)에서는 우크라이나군이 쏜 휴대용 대전차 미사일 등에 피격된 러시아군 전차의 포탑이 깜짝상자 마냥 2층 건물 높이로 튀어 오르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공유되고 있다. 서방 군사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런 현상은 탄약고와 승무원 탑승 공간을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은 탓에 생기는 것으로, 러시아군 주력 전차 대다수에서 공통으로 드러나는 문제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외곽 소도시 부차에서 지난 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파괴된 러시아군 탱크 잔해가 널려 있는 거리를 지나가고 있다. AP 연합뉴스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외곽 소도시 부차에서 지난 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파괴된 러시아군 탱크 잔해가 널려 있는 거리를 지나가고 있다. AP 연합뉴스



이같은 문제는 좁은 내부공간 탓에 방탄판으로 보호되는 별도의 탄약고를 마련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포탑 내부와 근처에 다량의 예비탄을 보관하기 때문에 약한 타격에도 최대 40발의 포탄이 연쇄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관련기사



이런 문제는 이미 1991년 걸프전쟁부터 알려진 사항이었다. 당시 이라크군 주력이었던 러시아제 T-72 전차의 포탑은 미군 M1 에이브럼스 전차에 피격될 때마다 대폭발을 일으키며 높이 솟아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미 싱크탱크 '신미국안보센터'(CNAS) 소속 전문가 샘 벤데트는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건 러시아제 전차의 설계 결함"이라면서 "어떻게든 제대로 맞으면 빠르게 탄약에 불이 붙고 대규모 폭발이 일어나 포탑이 말 그대로 터져나간다"고 말했다.

이러한 설계결함의 최대 문제는 피격 시 승무원들의 생명을 보장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영국군 장교 출신 방위산업 애널리스트인 니컬러스 드러먼드는 걸프전쟁에서 드러난 T-72의 문제를 보고 서방은 탄약고와 승무원 탑승 공간을 엄격히 분리하는 등 대책을 강구했지만, 정작 러시아군은 당시의 전훈을 전혀 받아들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드러먼드는 "(서방 전차는) 정확히 피격해도 전차가 손상될 뿐 반드시 승무원이 죽지는 않지만 러시아 전차는 피격 시 1초 이내에 탈출 못 하면 끝장"이라고 말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전차병의 손실을 키우는 결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한편 월러스 장관은 이날 러시아군 누적 전사자 수를 1만5000명 안팎으로 추산했다. CNN은 러시아군 전사자에서 전차병이 차지하는 비중을 파악하긴 힘들지만, 전차병 양성에 최대 12개월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할 때 사망한 전차병을 대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주희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