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부쩍 잦아진 태풍·호우…"결국 인간이 초래했다" 첫 증명

[KAIST, 지구온난화와 태풍 호우 빈도 상관관계 최초 증명]

김형준 교수 및 일본교토 공동연구팀, 지구 메타버스 기술 이용해 증명

태풍에 의한 호우 빈도의 증가가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 영향 확인

국제 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 (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김형준 교수.사진=KAIST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김형준 교수.사진=KAIST




국내 연구진이 지구 메타버스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와 태풍 호우 빈도의 상관관계를 최초로 증명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김형준 교수가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과거 50여 년간 관측된 동아시아 지역의 태풍에 의한 호우 빈도의 증가가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의 영향이었음을 처음으로 증명했다고 29일 밝혔다.

태풍에 의해 초래되는 호우는 홍수나 산사태 등의 재해를 일으키고 지역의 생태계에도 영향을 주는 등 인간 사회 있어서 커다란 위협 중 하나지만 인간 활동에 의한 온난화가 태풍 유래의 호우 빈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이 이번 연구의 배경이 됐다.

관측에 의한 태풍호우의 빈도변화를 지구 메타버스 실험으로 분석한 결과. 자료=KAIST관측에 의한 태풍호우의 빈도변화를 지구 메타버스 실험으로 분석한 결과. 자료=KAIST




이에 KAIST와 교토 첨단 과학대학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 연구팀은 일본을 포함하는 북서태평양에 있어서의 태풍에 의한 호우 빈도를 과거 약 50년간의 관측 데이터로 확인했다. 그 결과 중국 남동부의 연안 영역부터 한반도 그리고 일본에 걸쳐 호우의 빈도가 증가하고 남쪽의 지역에서는 감소한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의 배출이 있는 지구와 그렇지 않은 지구를 시뮬레이션한 지구 메타버스 실험을 했고 발견된 변화가 인간 활동에 의한 온난화의 영향을 배제하고서는 설명할 수 없음을 보이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관련기사



이번 연구 결과는 태풍의 영향을 받는 경제 규모가 큰 메가시티(Mega-city)등에 기후변화 대책을 마련하고 가까운 미래와 기후변화에 대해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형준 KAIST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동아시아에서 태풍에 의한 호우의 발생 확률이 최근 반세기에 걸쳐 유의미하게 증가했음을 밝히고 그러한 변화에 이미 인류의 흔적이 뚜렷하게 남겨져 있음을 증명한다”며 “이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되며 동시에 탄소중립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더라도 필연적으로 진행되는 가까운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해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P+)와 인류세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김형준 교수의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 (Nature Climate Change)’ 4월 28일 판에 출판됐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