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송현동 부지, 110년 만에 시민들 품으로…하반기 임시개방

오세훈 시장, 29일 임시개방 부지 현장점검

서울광장 3배…청와대 개방·광화문 광장과 시너지

‘이건희 기증관’과 함께 국제설계공모로 통합공간계획

서울 종로구 송현동 부지 개방 시 녹지광장 조감도./사진제공=서울시서울 종로구 송현동 부지 개방 시 녹지광장 조감도./사진제공=서울시




서울도심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지만 110년 넘게 높은 담장에 둘러싸여 있었던 ‘송현동 부지’가 올 하반기 시민 품으로 돌아온다.



서울시는 송현동 부지 전체를 열린공간으로 조성, 광화문광장 개장시기와 연계해 올 하반기 임시개방한다고 밝혔다. 오세훈 시장은 29일 4m 높이 담장 철거에 착수한 송현동 부지를 찾아 진행상황을 점검했다. 담장 낮추기가 마무리되면 드넓은 송현동 부지가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송현동 부지의 규모는 3만7117㎡으로 서울광장(1만3207㎡)의 약 3배, 연트럴파크(3만4200㎡)와 맞먹는다. 향후 청와대 개방, 광화문광장 개장과 함께 광화문과 북촌 일대가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공간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송현동 부지는 조선시대에 왕족과 명문세도가들이 살았지만, 1910년 일제강점기 식민자본인 조선식산은행 사택이 들어섰고, 광복 후에는 미군정이 접수해 미군숙소로, 다시 주한미국대사관 직원숙소로 쓰였다. 90년 가까이 외세에 소유권을 빼앗기며 가슴 아픈 근현대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곳이다. 1997년 우리 정부에 반환돼 비로소 다시 돌아왔지만 이후 주인이 세 차례 바뀌는 동안 쓰임 없이 폐허로 방치됐다.

관련기사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서울시-대한항공-LH 간 3자 매매교환방식으로 확보한 송현동 부지에 대해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하기 전까지 임시 개방하기로 하고, 올해 2월 시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현재는 대한항공에서 부지 소유권 이전을 위한 기반조성(부지평탄화 등) 공사가 진행 중이다.

서울시는 송현동 부지를 서울광장처럼 넓은 녹지광장에 최소한의 시설물만 배치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이 지난 21일 발표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과 연계해 광화문 일대 도심에 대규모 녹지를 확보하는 중요한 교두보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녹지광장에는 광화문~북촌~청와대로 이어지는 지름길(보행로)을 만들어 접근성을 높이고, 차량 통행이 많은 율곡로와 감고당길 대신 이용할 수 있는 녹지보행로도 만들어 걷고 싶은 도심 보행길을 선사한다.

또한, 그늘막, 벤치 등 도심에 부족한 휴게시설을 곳곳에 만들어 바쁜 일상에서 잠시 쉬어갈 수 있도록 한다. 공연이나 전시 같은 다양한 이벤트가 열릴 수 있는 공간도 별도로 마련해 도심 속 문화 향유 기회도 제공할 계획이다.

송현동 부지는 장기적으로는 도심 내 녹지공간으로 조성되고 전체 부지의 26% 가량에 ‘(가칭)이건희 기증관’이 건립될 예정이다. 향후 국제설계공모를 통해 정부추진 이건희 기증관의 건립부지를 확정하고, 조화를 이루는 통합 공간계획안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활력을 잃고 삭막해진 서울도심을 빌딩숲과 나무숲이 어우러진 ‘녹지생태도심’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말씀드렸다. 110년 만에 시민 품으로 돌아올 송현동 부지가 바로 ‘녹지생태도심’을 대표하는 공간이 될 것”이라며 “녹지가 턱없이 부족한 서울도심에서 누구나 와서 쉬고 놀고 즐길 수 있는 소중한 열린공간으로 만들어가겠다. 청와대 개방, 광화문광장과의 시너지도 기대된다. 보존과 규제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서울도심이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공간으로 재창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