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박진 "지금까지 중국과의 외교.. 아쉬운 부분 있어"

청문회 서면질의 답변 통해 이같이 밝혀

'사드 3불' 논란에 "주권 제약 내용은 협의대상 아냐"

쿼드 가입에 대해서는 "역내 국가들과 호혜적 협력 위한것"





박진(사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지금까지 대(對)중국 외교와 관련해 “우리의 주권, 정체성, 주요 국익이 걸린 사안에 있어서는 단호하게 입장을 밝히고 지키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관점에서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고 밝혔다.



박 후보자는 3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제출한 인사청문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대중국 ‘굴종외교’라는 표현을 쓴 근거를 묻는 더불어민주당 측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박 후보자는 “중국은 제1의 무역상대국이자 북핵·미사일 문제 해결에 있어 주요 이해관계국”이라며 “새로운 정부는 상호존중과 협력, 그리고 국익과 원칙에 기반해 대중외교를 추진해 나가고자 하며 이를 위해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사드 추가 배치, 미국 미사일방어체계(MD) 참여, 한미일 군사동맹화 등 이른바 ‘사드 3불(不) 논란’과 관련해서는 “우리의 안보 주권을 제약하는 내용은 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미중 갈등 사안인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나라도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정, 항행 및 상공비행의 자유를 유지해 나가기 위한 국제적 노력에 적극 참여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최근 역내 규칙 기반 다자질서를 훼손하고 남중국해에서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들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신정부의 ‘자유·평화·번영에 기여하는 글로벌 중추국가’ 비전에 걸맞은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만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는 역내 국가로서 대만해협의 평화·안정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보며, 양안 관계가 평화적으로 발전해 나가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쿼드(Quad) 가입 추진에 따른 중국과의 마찰 우려에 대해서는 “쿼드와의 협력은 특정 국가를 배제하거나 겨냥하는 것이 아니며, 실질적인 이익을 거둘 수 있는 분야에서 역내 국가들과 호혜적 협력을 확대해 나가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러외교에 대해서는 “국제규범에 기반해 러시아와 필요한 소통을 통해 한러 관계의 안정적 관리 노력을 병행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대외 여건을 봐 가면서 러시아와의 실질협력을 심화·확대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제안보 외교정책과 관련해서는 “미중일 등 주요국과 협력을 강화해 나감과 동시에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동반자협정(CPTPP),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 새로운 규범형성 과정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외교부 조직개편에 대해서는 “외교부는 복합적 대외환경에 적시 대처하기 위해 대외경제안보 교섭을 총괄·조정해 가고자 한다”며 “본부 조직을 공급망, 탈탄소, 에너지전환 등 당면 경제안보 현안을 반영한 형태로 개편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