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올 하반기 인도에 현지 사무소를 개소한다. 중국 베이징에 첫 해외 사무소를 연 지 27년 만에 다시 해외로 나가는 것이다. 14억 인구를 가진 거대 시장이자 전기차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 핵심 산업계의 투자가 쏟아지는 인도에서 이전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은 “하반기 인도에 현지 사무소를 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현지 네트워킹을 통해 우리 정부가 최적의 대외 경제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김 원장이 여러 국가 중에서도 인도를 택한 것은 인도가 떠오르는 거대 시장이자 주요 기업의 투자가 몰리는 곳이기 때문이다. 반면 주별로 제도가 많이 달라 꼼꼼한 시장조사와 분석이 필요한 곳이 바로 인도라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인도의 각 주마다 정책과 제도가 너무 달라 우스갯소리로 양파 껍질 같은 나라가 바로 인도”라며 “우리나라에 매우 중요한 시장인데, 연구 접근이 잘 안돼 문제가 있었는데 이번 진출을 계기로 심층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실제 인도는 석유와 통신 인프라 등 다양한 산업에서 외국인투자(FDI) 관련 규제를 적극적으로 완화하는 추세다.
유엔에 따르면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전 세계 외국인투자 규모가 전년 대비 42% 감소한 상황에서도 인도에 대한 외국인투자는 13% 증가했다. 특히 테슬라의 연구개발(R&D) 센터 설립 계획 등 자동차 산업에 대한 FDI가 가장 많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등 주요 핵심 산업 투자가 줄을 이었다. 그는 “(인도에 이어) 러시아와 동남아시아에 사무소 개소 역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특히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초기 현지 사무소의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했다. 현지 조사가 선행돼야만 정확한 경제 상황 파악이 가능하다는 것을 느꼈다는 것이다. 그는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발생 직후인 2020년 4월 국제통화기금(IMF)은 그해 중국 경제가 1.2% 성장할 것이라고 봤지만, 같은해 5월 우리는 전망치를 2.2%로 제시했다”며 “결과적으로 그해 중국 경제성장률이 2.2%였다”고 소개했다. 이런 결과에는 현지 사무소의 역할이 컸다.
김 원장은 “당시 외신에서는 중국이 코로나19로 많이 힘들다는 뉴스가 쏟아졌지만 사무소에서 보니 중국 내 상황이 들리는 것보다 심각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중국이 다른 국가보다 코로나19의 영향을 먼저 받아 비교적 빠르게 위기를 극복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현지 사무소를 통해 파악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