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김포-하네다 항공편 회복 가능"…한일관계 '방역'부터 개선

"한국 방역지침으로 운항 중단"

尹정부 완화땐 재개 속도낼 듯

한일 정책협의대표단을 이끄는 정진석 국회 부의장이 일본에서 주요인사들과 회동을 마친 뒤 28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한일 정책협의대표단을 이끄는 정진석 국회 부의장이 일본에서 주요인사들과 회동을 마친 뒤 28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윤석열 정부가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코로나19 방역 지침부터 완화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따라 양국 인적 교류의 핵심 노선인 김포~하네다 항공편 운항을 우선 재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포~하네다 항공편 운항은 한국 정부의 방역 지침 완화만 있으면 가능한 부분이어서 윤석열 정부 출범 즉시 관련 조치를 이뤄지면 바로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2일 서울경제 취재 결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김포~하네다 항공편 운항 재개와 관련해 한국 측의 의지만 있으면 가능한 일로 판단했다.



관련 소식에 정통한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김포~하네다 노선이 지금 움직이지 않는 것은 한국 때문”이라며 “일본은 하네다공항을 통해 다른 나라와 왕래를 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2020년 4월 국제선을 인천국제공항으로 일원화했는데 이 같은 국내 방역 시스템 때문에 김포~하네다 노선 운항이 불가능했다는 뜻이다.

관련기사



이 관계자는 “결국 한국 탓이므로 노선 재개를 위해서는 우리가 새로운 방역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포공항과 연결됐던 일본 하네다·오사카, 중국 베이징·훙차오, 대만 쑹산 등 5개 국제 노선은 현재까지도 중단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달 24~28일 일본을 방문했던 한일정책협의단은 기시다 후미오 총리,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 등과 만나 양국 관광 등 인적 교류 재개를 위해 김포~하네다 운항 회복 및 상호 격리 면제 적용, 비자 면제 복원 등과 관련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성에 공감대를 이뤘다.

대표단을 이끌었던 정진석 국회부의장은 지난달 28일 도쿄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사증 면제 복원과 시설 격리 면제는 외교 당국 간에 협의하면 머지않은 장래에 타결될 수 있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김포~하네다 노선 복원도 우리가 노력하면 할 수 있는 문제”라며 “현 정부는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는데 방역 지침을 완화할 상황은 아닐 것이다. 차기 정부가 들어서면 이에 대해 협의할 수 있는 인프라를 이른 시일 내에 갖출 것”이라고 전했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