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러시아처럼 제재 받으면 어쩌나'…中, 은행 긴급 소집 대응책 논의

FT "4월 22일 비공개 회의"

3.2조弗 보유 외화 보호책 지시

HSBC 등 글로벌銀 대표도 참석





중국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서방의 고강도 제재를 받는 것과 관련해 자국에도 불똥이 튈 것을 우려한 나머지 주요 은행을 긴급 소집해 대책 마련에 나선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만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 등 서방의 압박 수위가 높아지자 만일의 사태에 사전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1일(현지 시간) FT는 지난달 22일 중국 인민은행과 재정부 당국자들이 주요 은행 경영진을 불러 비공개 긴급 회의를 개최해 “러시아처럼 서방이 제재할 경우 대응책을 찾으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회의에는 중국 국내 은행 수십 곳을 비롯해 HSBC 등 글로벌 주요 은행 대표들도 참석했다.

관련기사



중국 당국자들은 해외 주요 은행에서 러시아의 외화 자산을 동결하고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에서 배제하는 조치 등을 단기간에 시행한 데 큰 충격을 받았다고 회의 참석자들은 전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중국이 미국과 동맹국으로부터 러시아처럼 제재를 받을 가능성을 우려한다고 진단했다.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러시아 지원국으로 분류돼 추가 제재 대상이 되거나 대만과의 군사 충돌 등 위기 상황 발생 시 자국을 향한 제재 수단이 동원될 수 있다고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회의에 참석한 중국 당국자들은 특히 3조 2000억 달러에 이르는 중국의 외화보유액을 보호할 수 있는지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별다른 해결책은 없는 상황이다. 대신 인민은행이 모든 수출 업체를 대상으로 외화 수입을 위안화로 환전하도록 강제해 자국 내 달러화 자산을 최대한 확보하고 중국인의 해외여행과 역외구매 등에 허용된 연 5만 달러 상한선을 크게 낮추는 안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