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스트, 전기차 배터리 수명 약 7배 향상 ‘실리콘 음극’ 개발

김형진 교수 연구팀, 고에너지 밀도의 음극 전지 상용화 시, 전기차 주행거리 개선 기대

지스트 김형진(왼쪽부터) 교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우중제 박사, 김지훈 박사 /사진제공=지스트지스트 김형진(왼쪽부터) 교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우중제 박사, 김지훈 박사 /사진제공=지스트




전기차 배터리에 활용될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는 실리콘 음극의 안정성을 기존 수명 대비 약 7배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이 지스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에너지융합대학원 김형진 교수 연구팀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공동 연구에서 그래핀 산화물과 금속 산화물을 완성된 실리콘 음극에 적용해 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후공정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실리콘 음극은 단위 무게당 이론용량이 최대 4,200 mAh/g에 달해 기존 흑연 상용 음극 대비 10배가 넘는 이론용량을 갖는 차세대 음극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후공정은 150회 충·방전 동안 93%의 용량을 유지시킬 수 있어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크게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현재 전기차의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 리튬 배터리의 음극재로 흑연이 사용되고 있다. 이론적으로 실리콘 음극은 기존의 흑연 음극보다 동일한 부피에서 최대 10배 더 많은 전기를 저장할 수 있어 고에너지 밀도 배터리 개발을 실현할 차세대 음극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배터리 충전 시 실리콘 음극은 약 4배가량 팽창하는 단점이 있고, 팽창한 음극이 방전 시 다시 수축되긴 하지만 이전과 같은 형태로 돌아오진 않는다. 이는 배터리의 안정성에 위협이 되고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실리콘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고자 열처리를 통해 다공성의 특징을 띠게 한 실리콘 음극 상에 그래핀 산화물을 용액 공정으로 도포하고 진공 증착법을 통해 금속 산화물 박막을 코팅했다.

여기에 전해질과의 부반응과 전극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안정한 특성의 금속 산화물 박막을 전극에 증착해 높은 안정성을 확보했다.

후공정을 통해 연구팀이 개발한 실리콘 전극은 기존 실리콘 전극 수명의 7배에 해당하는 150회 충·방전 시험에 성공했고, 기존 실리콘 전극이 20회 동작에서 37%의 저조한 용량 유지율(150회, 1.3%)을 보인 반면에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전극은 150회 동작에서도 93%를 달성했다.

김형진 지스트 교수는 “이번 연구는 후공정을 통해 부피 팽창에 취약한 음극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선례를 제시했다는 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며 “향후 고에너지 밀도의 음극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새로운 공정의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광주=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