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전술핵 위협수위 높이는 北 "최소 2~3차례 핵실험 할 것"

IAEA 前사무차장 "北 소형화 원해"

북한이 2018년 5월 24일 풍계리 핵실험장 입구를 폭파하는 모습./연합뉴스북한이 2018년 5월 24일 풍계리 핵실험장 입구를 폭파하는 모습./연합뉴스




북한이 핵무기를 소형화하고자 최소 2~3차례 핵실험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문가 전망이 3일 나왔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차장을 지낸 올리 하이노넨 미국 스팀슨센터 특별연구원은 2일(현지 시간)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 같은 관측을 내놓았다.



하이노넨 연구원은 북한이 최근 복구하고 있는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에서 전술 핵무기 실험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며 이같이 내다봤다. 그는 “북한이 플루토늄과 우라늄 기반의 두 가지 유형의 핵무기를 갖고 있으며 이 두 가지 모두를 소형화하기를 원할 것”이라며 북한이 최근까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비롯해 다양한 사거리의 탄도미사일을 시험해왔지만 앞으로는 탄두에 장착할 전술핵무기 실험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다만 하이노넨 연구원은 북한의 핵실험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예단하지 못했다. 그는 최소 몇 개월은 걸릴 것으로 판단하며 “갱도에서 나오는 쓰레기 양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옮기고 갱도와 폭파 장소 구조를 지원할 장비들이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하이노넨 연구원은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도 북한이 최소한 두 차례의 핵실험을 할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전술핵무기용 핵실험은 보통 20㏏(킬로톤) 규모의 폭발을 한다”면서 “때에 따라 1㏏ 규모로 핵실험을 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고조되는 북핵 위협에 한중은 이날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열고 최근 한반도 정세에 관한 평가를 공유했다. 현승수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날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중국과 러시아도 북한의 핵위협 고조를 원하지 않는다”며 “한국이 강대국 사이에서 각자의 주장들을 잘 조율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