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기후위기 대응 위한 ESG 확산 나선다…기후예산제 전면 시행

온실가스 배출 영향 예산에 반영

투자·출연기관 ESG 경영도 평가

'녹색 제품' 구매 늘리고 산업 육성







서울시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산을 위해 기후예산제 전면 시행을 비롯한 다양한 정책을 시정 전반에 도입한다. ESG 경영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을 고려하는 경영을 의미한다.

서울시는 기후예산제를 올해 시정 전 분야로 확대해 내년도 예산에 반영하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사업별로 온실가스 배출 영향을 분석해 온실가스 감축이 예상되는 사업은 확대하고 배출이 예상되는 사업은 규모를 축소하거나 배출 상쇄 방안을 마련하는 제도다.



시는 지난해 기후환경본부·푸른도시국·물순환안전국에 기후예산제를 시범 도입해 올해 3725억 원 규모의 125개 사업을 기후영향사업으로 분류했다. 이를 통해 99만 톤 규모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서울연구원이 기후예산제 전면 도입을 가정해 2022년 회계연도 예산을 분석한 결과 시 전체 예산(44조 원) 가운데 기후영향사업은 3조 4000억 원 규모로 추산됐다. 기후예산제 전면 도입으로 온실가스 감축 규모는 확대될 전망이다.

시는 매년 시행하는 26개 투자·출연기관 경영 평가에 ESG 관련 지표를 신설하기로 했다. 에너지 사용량, 폐기물 발생량, 녹색제품 구매실적 등을 평가지표로 설정하고 평가 결과를 기관장 및 직원 급여에 반영한다. 이를 통해 투자·출연기관의 ESG 경영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온실가스 및 오염 물질 발생을 줄인 제품으로 인정 받은 ‘녹색 제품’ 의무 구매를 확대한다. 녹색 제품 구매 심사 기준을 현행 70만 원 이상에서 50만 원 이상으로 강화하고 지난해 시 전체 녹색 제품 구매 금액의 71%를 차지한 건설·토목 분야에서 녹색 제품 의무 구매 비율을 지난해의 32.6%(구매액 558억 원)에서 2026년 7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민간 부문의 ESG 참여 확대도 유도한다. 연 2조 5000억 원 규모에 달하는 전체 계약(공사·물품·용역 등)에서 ESG 우수기업을 우대하고 민간 위탁 수탁자 선정 시에도 가점을 부여하도록 관련 지침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대한상공회의소,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운영하면서 중소기업 대상 ESG 경영 전환 컨설팅을 확대한다.

시는 녹색신기술 실증 연구 접수소 등 4개 시설을 통한 녹색 산업 육성 지원을 지속한다. 주요 지원 내용은 친환경·녹색 기업 창업, 친환경 제품의 원활한 판매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및 마케팅, 온실가스 감축, 폐기물 저감 기술 개발이다. 올해 지원 규모는 총 34억 2000만 원이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는 세계 주요 도시들의 기후 대응 연합체인 ‘C40’에서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행동계획을 인증받는 등 기후변화 대응에 힘써왔다"며 "기업·시민과 협력해 ESG 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