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배우 강수연 심정지로 중태…심장마비와 뭐가 다를까

심정지는 심장의 전기 신호 문제로

심장마비는 혈액순환 문제로 발생

/연합뉴스/연합뉴스




강수연(55) 영화배우가 5일 심정지 상태에 빠진 후 의식을 되찾지 못하고 있어 국민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심정지(cardiac arrest)는 심장마비(heart attack)과 혼동하기 쉽지만 의학적으로 다른 개념이다. 심정지는 심장의 전기 신호 문제고 심장마비는 혈액 순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심장의 전기적 오작동은 심실세동을 유발한다. 심장 박동이 리듬을 잃고 떨리기만 하게 돼 혈액을 뿜어내지 못한다. 심장의 전기 신호에 문제가 생겨 박동을 멈추기도 한다. 심정지가 오면 급작스럽게 쓰러지거나 기절하고 호흡이 멎을 수도 있다.

관련기사



한 해 3만 명이 넘는 인원이 급성심정지를 경험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0년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 1652명이다.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61.6명이었다. 이러한 심정지는 주로 남성이 더 자주 겪고 연령층이 올라 갈수록 심정지를 더 많이 겪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심장마비는 심장의 근육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힐 때 발생한다. 혈관이 막혀 산소와 에너지를 제대로 공급받지 못해 심장 세포가 죽기 시작하면 전조 증상도 나타난다. 가슴 통증·호흡 곤란·어지럼증·메스꺼움·심한 무기력이나 피로감 등이 그 증상이다.

심장마비가 반드시 심정지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심정지가 왔다면 심장마비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심장마비 때문에 제대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해 손상된 심장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 심실세동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심정지를 유발하는 심장 질환으로는 심장 근육이 약해지는 심근증이나 판막증 등이 있다. 심장의 전기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키는 QT 증후군 등 부정맥 질환도 포함된다. 코카인이나 암페타민 같은 향정신성 약물을 남용하거나 진통제를 지나치게 남용할 때도 심정지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심장마비와 심정지는 관상 동맥 질환과 연관돼 원인이 비슷하기도 하다. 흡연·당뇨병·고지혈증·운동 부족·비만·고혈압·가족력 등이다.


김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