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美 "北, 이달중 7차 핵실험"…고민 커지는 尹

위성사진서 장비반입 등 포착

尹, 북핵 해법 적극 모색할 듯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일 '항일빨치산' 창설 9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가한 평양 청년들을 격려하고 있다./연합뉴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일 '항일빨치산' 창설 9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가한 평양 청년들을 격려하고 있다./연합뉴스




북한이 이달 한국의 정권 교체기와 한미정상회담에 맞춰 7차 핵실험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미국 국무부에서 공식적으로 내놓은 분석이다. 이에 따라 한반도의 긴장감이 극도로 높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대북 전문가들은 북한의 폭주를 제어할 수단이 마땅치 않은 만큼 윤석열 정부 취임 초기부터 대북 해법 마련에 대한 고민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미 국무부는 6일(현지 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을 준비하고 있고 이르면 이달 중 이곳에서 7차 실험을 할 준비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공식 전망을 내놓았다. 절리나 포터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 같은 평가가 북한의 최근 공개 성명과 일치한다”며 “미국은 동맹과 정보를 공유하며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1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취임, 21일 한미정상회담에 맞춰 핵실험이라는 초강수를 두며 한국과 미국을 압박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관련기사



북한의 핵실험 징후는 최근 뚜렷해지고 있다. 대북 문제를 다루는 미국 매체인 38노스가 최근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주변에서 복구 작업의 징후가 분명히 관측됐다. 이날 위성사진에서는 핵실험장 지휘소 본부 건물 앞에 화물 트럭이 주차된 모습이 발견됐다.

대북 전문가들은 북한의 핵실험이 사실상 임박했다고 평가한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이 지속되는 한 북한이 무엇을 하든 유엔 안보리에서 새 대북 제재를 채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북한은 이 기회에 핵무기를 시험하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당선인은 10일 취임과 동시에 북핵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적극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을 비핵화의 길로 유도하기 위한 대화의 문을 열어놓으면서도 도발을 억지하기 위한 한미 동맹 강화, 우리 군의 ‘3축 체계’ 강화, 국제적 대북 제재 공조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문성묵 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북한의 핵 보유 비용이 막대하다는 점을 느끼도록 해야 한다”고 대북 제재의 방향을 제언했다.


강동효 기자·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