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中 봉쇄에 LG생건 1분기 ‘어닝 쇼크’, 신세계인터는 리오프닝에 ‘최대 실적’

LG생건, 시장 전망치 47.8% 하회

중국 제로 코로나에 현지 사업 타격

신세계인터는 명품 주축 패션 수요 ↑

크렘샵 모델 이미지. /사진 제공=LG생활건강크렘샵 모델 이미지. /사진 제공=LG생활건강




1분기 실적을 낸 LG생활건강(051900)과 신세계인터내셔널의 희비가 엇갈렸다. LG생활건강은 중국 주요 도시 봉쇄 여파에 어닝 쇼크’를 낸 반면 신세계인터내셔널은 리오프닝 수혜를 톡톡히 누리며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LG생활건강은 올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756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2.6%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1일 밝혔다. 시장 추정치인 3362억 원을 47.8%나 하회했다. 매출은 1조 6450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9.2% 감소했다. 순이익은 1138억 원으로 56% 줄었다.

관련기사



실적을 끌어내린 건 화장품 사업의 부진이다. 1분기 화장품 매출은 699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6%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690억 원으로 72.9%나 빠졌다.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전후로 지속된 중국의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현지 사업은 물론 면세 채널도 영향을 받은 탓이다. LG생활건강의 한 관계자는 “중국 실적을 제외하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감소폭은 각각 6.4%와 0.7%로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반면 생활용품 사업은 1분기 매출이 552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고 음료의 경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9% 성장한 3927억 원, 영업이익은 2.6% 증가한 514억 원을 기록했다.

이날 신세계인터내셔널은 리오프닝 수혜에 사상 최대 실적에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031430)은 이날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대비 3% 늘어난 3522억 원, 영업이익은 55.4% 증가한 331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리오프닝 기대감에 패션 수요가 증가하며 명품을 주축으로 한 수입 패션과 자체 패션 브랜드가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신세계인터내셔날 관계자는 “패션·뷰티·리빙·온라인으로 사업을 다각화한 효과가 리오프닝 시기에 더욱 빛을 냈다”며 “수입 브랜드뿐만 아니라 자체 브랜드도 좋은 성과를 내고 있고 적극적으로 신사업 발굴에 나서고 있는 만큼 2분기에도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