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중소탄산가스업계 "탄산공급 부족으로 국내 기간산업 셧다운 위기"

2년새 가격 2배 이상 올라, 구하기도 힘들어

유가 급등으로 석유화학사 플랜트 정비 들어가

석유 부산물서 나오는 탄산공급 부족 이어져






고유가의 여파가 중소탄산가스업계로 번지고 있다. 고유가로 인해 석유화학사들이 3월부터 플랜트 정비에 나서면서 부산물로 나오는 탄산의 발생량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탄산가스는 탄산음료뿐만 아니라 반도체, 철강, 조선, 의료, 폐수 처리 등 다양한 산업에 사용되고 있어 탄산공급이 차질을 빚을 경우 중소탄산가스업계뿐만 아니라 우리 생활 전반에 커다란 피해를 줄 것이이라는 우려가 높다.

관련기사



12일 한국고압가스공업협동조합연합회는 “코로나19로 인한 탄산부족현상의 여파가 채 가시기도 전에 또다시 탄산부족으로 인해 국내 산업은 생산차질에 직면하고 있다”며 관련 업계를 비롯해 정부에 해결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탄산은 주로 정유 및 석유화학제품의 제조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며, 탄산 제조사는 석유화학업체로부터 원료탄산을 공급받아, 이를 정제 및 액화하여 충전업체 및 대규모 수요업체 등에게 공급하고 있다. 최근 탄산공급 부족현상은 울산, 서산, 여수, 나주 등에 있는 석유화학사들의 플랜트가 잇따라 정비에 들어갔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으로 인해 석유화학사들이 3~6월에 걸쳐 플랜트정비에 나서면서 부산물로 나오는 탄산의 발생량이 크게 감소하게 된 것이다. 또한 각 가정의 온라인 쇼핑 등이 많이 늘면서 식품을 택배로 받는 사례가 증가하여 드라이아이스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원료탄산의 수급불안을 일으키는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또 수소를 제조할 때 국제유가의 급등으로 인해 나프타 대신 천연가스를 이용하면서 탄산의 발생량이 5분의 1로 대폭 줄어든 것도 커다란 요인으로 꼽힌다. 업계의 한 관계짜는 “최근의 탄산부족현상은 지난 2020년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라며 “이제는 저장탱크의 재고까지 바닥날 것으로 보여 사상 최악의 상황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탄산가격도 크게 치솟고 있다. 수도권의 탄산메이커의 한 관계자는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은 탄산의 공급부족을 촉발하기도 했으나, 경유값 폭등으로 운송비까지 크게 늘어나면서 탄산가격을 인상하지 않을 수 없다”며 “또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고압용기, 밸브 등 각종 원부자재 가격이 크게 올라 가격인상이 불가피하다”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2년 새 가격이 2배 이상 올랐다. 심승일 한국고압가스공업협동조합연합회장은 “탄산은 일상적인 국민생활은 물론 산업전반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어서, 부족현상은 공급업체 뿐만 아니라 실수요자에게도 피해를 유발하게 되고, 결국 산업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기 때문에, 탄산메이커와 충전업체간 협조와 정부의 대책마련을 통해 이러한 어려움을 함께 극복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5~6월에 플랜트정비를 계획하고 있는 석유화학사들의 정비일정을 조정하고, 유통배송업체 등의 드라이아이스 사용을 자제하고 얼음팩으로 대체하는 등 산업보호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에 대해 정부와 업계가 나서서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