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사과한다던 김성회 또…"女절반, 양반의 성적쾌락 대상"

"도덕적 편견으로 불편한 진실 외면" 주장

동성애·위안부 비하 이어 또 부적절 발언

논란 이어지자 대통령실 "더 지켜보겠다"

김성회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 연합뉴스김성회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 연합뉴스




잇따른 부적절한 발언으로 논란을 사고 있는 김성회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이 이번엔 “조선시대 여성 인구의 절반이 언제든 주인인 양반들의 성적 쾌락의 대상이었다”는 글을 게재했다.

김 비서관은 12일 페이스북을 통해 ‘독백(부끄러운 고백)’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그는 “조선조에 절반에 달하는 40~50%의 인구가 노비였고, 그중 노비 2세를 낳을 수 있는 여성노비가 더 선호됐다. 여성노비는 외거를 하더라도 양반 주인이 수청을 요구하면 함께 밤을 보내야 하는 처지였다는 것은 역사학계에서는 일반화된 이론”이라며 “결국 여성인구의 절반이 언제든 주인인 양반들의 성적 쾌락의 대상이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비서관은 “왜 대한민국의 지식인과 언론은 자기만의 도덕적 편견에 사로잡혀, 불편한 진실을 외면하는가?”라며 “목숨이 두려워 거짓을 진실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었던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그래도 지구는 돈다’고 했다. 두려운 것은 사회적, 도덕적 편견에 사로잡힌 사람들, 언론들의 손가락질이 아니라, 안락함을 위해 불편한 진실을 외면하려는 나의 비겁함”이라고 적었다.

관련기사



앞서 김 비서관은 지난해 3월 한 인터넷 신문에 "조선시대 여성의 절반이 성 노리개였다"며 "일본군 만행에 대한 분노의 절반 만큼이라도 조선시대 노예제에 대해서도 탐구하고 분노하자. 국뽕에 취해서 다른 나라에 삿대질하기 전에 우리 역사의 꼬라지를 제대로 알고 분노하자"는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또 그는 ‘동성애는 정신병의 일종’이라는 글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보상 요구를 ‘화대’라 표현한 글 등을 실었다가 페이스북으로부터 활동중단 조치를 받기도 했다.

김 비서관은 해당 발언으로 논란이 일자 11일 “과거에 있었던 위안부 문제와 동성애 문제에 대한 저의 지나친 표현에 대해 깨끗이 사과한다”고 고개를 숙였다.

대통령실은 김 비서관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자 "좀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냈다.


김지선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