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충청 지역, 차세대 산업 생산 기지 급부상했지만…생태계는 ‘열악’

우태희(앞줄 왼쪽 세번째)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이 13일 대전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3차 대한상의 지역경제포럼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우태희(앞줄 왼쪽 세번째)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이 13일 대전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3차 대한상의 지역경제포럼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




충청 지역이 반도체·배터리 등 차세대 산업 생산 기지로 부상했지만 열악한 인력 인프라로 성장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오전 대전상의 중회의실에서 제3차 지역경제포럼에서 이 주장이 나왔다고 밝혔다.

지난 5년간 충청지역의 지역내총생산(GRDP) 연평균 성장률은 3.9%로, 전국 6개 권역 중 2위를 차지했다. 수도권에 집중된 반도체·배터리 등 신산업의 생산기지 역할을 인접 지역인 충청권이 맡았기 때문이다.

이런 외형적 성장에도 산업생태계가 열악해 수도권을 따라잡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신산업 생산 현장의 기술 인력이 부족할 뿐 아니라 지역에서 신산업을 이끌어갈 기업 본사나 연구개발(R&D) 센터도 전무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신산업 분야 기술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산업기술인력수급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충청권의 경우 2020년 기준 기술인력 부족 인원은 5935명으로, 수도권 다음으로 많았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차미숙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충청지역은 수도권과 인접해 다른 지역보다 청년인구 유출이 적었으나, 최근 지역 내 신산업 분야 일자리가 늘면서 기술인력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충청권의 불완전한 산업생태계를 온전히 복원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도 나온다.

지역 경제계는 새 정부가 공약으로 내건 ‘중원 신산업벨트’ 조성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김양중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충청 지역이 신산업 거점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상호 간 유기적 연계는 아직 부족한 편”이라며 “정부가 충청지역에 약속한 중원 신산업벨트 공약을 조속히 구체화하고 추진에 속도를 내달라”고 당부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새 정부가 공약한 중원 신산업벨트 구상에 지자체와 지역 산업계도 적극 참여해 명실상부한 충청권 브랜드를 키워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해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