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정책 폐기를 선언한 윤석열 정부가 원전 이용률을 대폭 끌어올리기로 하면서 이러한 결정이 적자 늪에 빠진 한국전력의 재무구조 개선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3일 원전 업계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해 74.5%였던 원전 이용률을 올해 82%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는 신규 원전 2기를 짓는 효과와 맞먹는다. 박근혜 정부 당시 80%대를 유지하던 원전 이용률은 문재인 정부 들어 탈원전 정책의 영향으로 65%대까지 떨어졌다가 액화천연가스(LNG)와 석탄발전 단가 급등으로 원전 가동을 늘리면서 지난해 74%대로 다시 올라온 상태다.
한수원은 새 정부의 탈원전 폐기 기조에 맞춰 원전 정비에 걸리는 행정 기간을 줄이는 등 기존 원전 정비 규제를 완화할 방침이다. 문재인 정부의 원전 1기당 계획정비 기간은 97일로 미국 등 선진국이 20일 안팎에 불과한 것과 비교해 과도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 같은 정비 규제 개선과 함께 원전 공극(틈) 문제로 5년 가까이 정지된 한빛 4호기가 이르면 연내에 재가동되면 원전 이용률 상향에 보탬이 될 수 있다. 또 신한울 3·4호기 등 신규 원전 건설 재개와 노후 원전 수명 연장 등을 통해 원전 이용률을 대폭 끌어올린다는 게 새 정부의 구상이다.
상대적으로 발전단가가 낮은 원전 이용률이 높아지면 전력 구매 비용을 줄여 한전의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원전 이용률이 1%포인트 높아질 때마다 한전의 영업이익은 3750억 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한수원의 계획대로 올해 원전 이용률이 지난해보다 7.5%포인트 높아진다고 가정하면 산술적으로 한전의 영업이익은 2조 8125억 원 개선되는 셈이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신규 원전 1기는 매년 전력 구입비를 1조 2000억 원 이상 절감할 수 있다”며 한전에 긍정적인 이슈라고 평가했다.
다만 공사 재개를 추진 중인 신한울 3·4호기의 경우 일러야 2025년 착공되는 등 원전의 완전 정상화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어 한전 재무구조 개선에 대한 기여 역시 제한적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