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北, 미사일 쏜 뒤…한미 안보사령탑, 바로 첫 통화했다

“북한 도발 우려, 대북 공조 강화”

바이든 대통령 방한 일정도 조율

김성한(오른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연합뉴스, AP연합뉴스김성한(오른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연합뉴스, AP연합뉴스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과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진행한 첫 통화에서 한미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김 실장이 전날 밤 설리번 보좌관과 전화 통화를 했다”며 “양측은 탄도미사일 발사를 비롯한 최근 북한의 도발 행위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한미 간 대북 공조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윤 대통령 취임 사흘 만에 북한이 군사행동에 나서자 한미 양국이 긴밀히 공조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관련기사



김 실장과 설리번 보좌관은 최근 잇단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으로 규탄하고 북한이 취하는 위협에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양측은 한반도 상황 및 여러 국제적 현안들을 고려할 때 한미·한미일 안보실장 간 긴밀한 협의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긴요하다는 데 공감했다”며 “대면 협의를 포함해 다양한 형태의 협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통화에서는 20일로 예정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과 관련해 세부 일정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이 한미 간 포괄적 전략동맹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주요 의제 점검 등을 통해 성공적인 방문이 될 수 있도록 계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알렸다.

윤 대통령이 한미 동맹 재건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만큼 한미 양국은 다가오는 정상회담을 계기로 밀착하는 모양새다. 박진 신임 외교부 장관도 취임 다음 날인 이날 곧바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첫 화상 통화를 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두 장관은 북한의 도발을 강력히 규탄하고 굳건한 한미 연합 방위 태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북한의 위협에 단호히 대응하기 위한 한미 간 공조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들은 또 공급망 회복 등 경제안보 분야 협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데도 공감하고 한미 간 전략적 소통을 더욱 강화하자고 의견을 모았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