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최재성 "尹예고없는 신발구매..그 시간 해야할 일 안한단 얘기"

"윤 대통령 지각 출근"지적에 강인선 "업무 중단없어"

최재성 "정시 출근 있고 퇴근 없는 게 맞다…큰 걱정"

"文전 대통령 매일 오전 8시 업무 시작"…MB·朴비교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연합뉴스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연합뉴스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16일 윤석열 대통령의 지각 출근과 관련 “대통령에게는 정시 출근은 있고 퇴근은 없다가 맞다”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이 출근에 지각한다’는 일각의 지적에 강인선 대통령실 대변인이 "대통령은 출퇴근 개념 자체가 없다"고 반박한 것을 되받아 친 것이다.

최 전 수석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의 출근이 늦으면 안 되는 이유'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대통령실은 국가 컨트롤타워"라며 "매일 아침 7시 각 수석실 회의를 하고, 8시 선임 비서관 이상 회의를 통해 각 수석실 보고 및 점검을 거쳐 취합 및 조정된 내용을 9시 대통령 주재 수석회를 통해 보고 토론 결정이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24시간 근무’라는 강 대변인의 말을 인용해 “변명이 아니고 대통령이 실제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면 큰 걱정”이라고 지적했다.



최 전 수석은 “대통령의 업무 시작 시간이 늦어지거나 없어진다는 것은 대통령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전후 과정이 흔들린다는 얘기”라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아침 회의 시간을 놓치면 다음 회의와 일정 때문에 문서 보고로 대체할 수밖에 없거나 조정, 결정을 위한 토론이 생략된다"며 “대면보고와 회의를 해도 참모들이 아니오라고 말하기 어렵다는 데 대면 없는 보고와 회의는 대통령과 대통령이 좋아하는 누군가에 의해 조정되고 결정된다는 것에 다름 아니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특히 최 전 수석은 문재인 전 대통령이 매일 오전 8시에 업무를 시작한 것을 언급하며 "관저에만 있었던 박근혜 전 대통령 김기춘 비서실장의 궁한 답변처럼 '대통령이 있는 곳이 집무실'이 아니다. 집무실에 있어야 대한민국 대통령"이라며 "박 전 대통령은 집무실이 아닌 관저에서 문고리를 통한 문서 보고로 대체했고 수시 대면 보고와 회의도 거의 없었다. 결과는 국정농단이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주말인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을 방문한 뒤 자택 인근 백화점을 찾아 신발 구매에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주말인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을 방문한 뒤 자택 인근 백화점을 찾아 신발 구매에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이명박 전 대통령도 소환했다. 그는 "이 전 대통령은 얼리버드라는 얘기를 하며 취임 초기에 아침 7시에 출근해서 사전에 이뤄지는 각급 단위의 점검과 회의체계를 흔들어 결국 출근 시간을 늦출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관저에서 오전 8시에 문서를 검토하고 9시에 출근 즉시 곧바로 회의를 시작했다. 오후 6시 퇴근 후 밤 10시 30분까지 수시 보고, 문서 보고 및 검토가 이어졌고 당직 직원의 주 업무도 관저로 이어지는 업무를 보좌하는 것이었다"고 했다.

최 전 수석은 '대통령에게는 정시 출근은 있고 퇴근은 없다'는 해명이 옳은 해명이었다고 재차 대통령실 측의 반박을 비판했다. 그는 "계획된 민생 일정이 아니면 근무 시간에 신발 사는 것도 안 된다"며 "예고 없이 신발 사러 가면 그 시간에 해야 할 일을 안 한다는 얘기이고, 보고나 회의를 준비했다면 취소된다는 얘기"라고 했다.

최 전 수석은 “윤 대통령의 출근이 늦어진 날에 대통령의 업무 스케줄과 방식을 공개하시라”며 “회의 시스템이 아예 없거나 황급히 시간과 방식이 변경됐을 것으로 줄줄이 차질을 빚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