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尹·바이든 평택선언…“한미, 반도체 동반자"

['삼성 반도체 기지'서 공동 연설…21일 정상회담]

尹 "반도체 등 통해 '글로벌 포괄적 전략 동맹' 격상"

바이든 "첨단기술 공유·공급망 회복 함께 노력해야"

군사·경제 이어 '기술 동맹' 진입 국제사회에 공표

취임 이후 한국을 처음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과 20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방문해 이재용(오른쪽 두 번째) 부회장의 안내를 받으며 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연합뉴스취임 이후 한국을 처음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과 20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방문해 이재용(오른쪽 두 번째) 부회장의 안내를 받으며 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에서 만나 전 세계를 향해 한미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격상한다고 밝혔다. 양국 정상은 1953년 한미상호방위조약으로 시작된 군사 동맹, 2008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열린 경제 동맹 시대에 이어 양국 관계가 ‘기술 동맹’으로 진화하며 새로운 시대에 진입했음을 국제사회에 알렸다.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오후 7시께 평택 캠퍼스에서 각각 연설을 하며 한미 기술 동맹 결성을 선언했다.

윤 대통령은 “한미 관계가 첨단 기술과 공급망 협력에 기반한 경제안보 동맹으로 거듭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의 평택 캠퍼스 방문은 반도체가 가진 경제·안보적 의미는 물론 반도체를 통한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 동맹’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도 연설에서 “양국은 첨단 기술을 공유할 수 있고 또 많은 첨단 시설들을 각국에서 운영하고 있다”며 “미국과 한국 기업들이 전 세계 경제에서 서플라이(공급) 체인을 복원하고 안보를 강화할 수 있다면 양국에 많은 이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가 안보는 가치관을 공유하는 신뢰하는 국가끼리 보호해야 한다”며 “한국처럼 우리와 가치를 공유하는 동맹국들과 공급망 회복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함께해나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관련기사



양국 정상의 이번 연설은 미국 시간으로 오전에 발표됐다. 두 정상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기술 동맹을 맺는 상징적 장면을 전 세계로 송출하며 한미가 경제안보를 포함한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격상된 사실을 세계 각국에 알린 것이다. 이 뿐 아니라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기술 동맹의 서명을 전략자산인 반도체 웨이퍼 위에 각각 새기는 모습도 연출했다.

21일 열릴 한미정상회담에서도 미중 패권 전쟁의 핵심인 첨단 기술 협력이 의제에 포함된다. 반도체와 차세대 원전인 소형모듈원전(SMR), 배터리 등 첨단 기술에 대한 전방위적 협력 방안에 합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날 미국 백악관과 한국 대통령실이 경제안보 대화를 위한 채널 구축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미국은 대화 채널인 우리 국가안보실에 6월 중 워싱턴DC 방문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취임 이후 최단 기간에 한미정상회담을 연 윤 대통령의 미국 답방 역시 빨라져 한미가 역사적으로 밀착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구경우 기자·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