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용산공원 부지 오염' 의식했나 … 시범 개방 발표 하루만에 철회

오염물질 정화 없이 추진해 논란

국토부 "준비 보완…재공지 예정"

용산공원 시범개방 행사 포스터 / 자료제공=국토부용산공원 시범개방 행사 포스터 / 자료제공=국토부




25일로 예고됐던 용산공원 부지 시범개방 일정이 발표 하루 만에 무기한 연기됐다. 정부는 부족한 편의시설을 보완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지만 오염된 부지에 대한 정화작업 없이 개방을 졸속으로 추진하면서 혼란만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번 용산공원 시범개방을 연기한 사유는 ‘편의시설 등 사전준비 부족’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더운 날씨에 대비해 차양막 등 쉼터를 더 설치하고 화장실도 보완해 개방할 것”이라며 “빠른 시일 내 개방 일정을 정해서 다시 공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국토부는 지난 19일 대통령 집무실 남측부터 국립중앙박물관 북측인 스포츠필드에 이르는 용산공원 부지를 오는 25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한시적으로 국민에게 개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용산공원 조성 과정에 국민의 의견을 경청하고 반영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시범개방 발표 하루 만인 20일 오후 돌연 일정을 연기하면서 공원부지 오염물질에 따른 유해성 논란을 의식한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개방 부지 중 일부인 ‘장군숙소’ 부지에 대한 토양오염 조사 결과 기준치를 넘는 오염물질이 검출된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시범개방이 ‘시기상조’라는 비판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장군숙소 부지에서는 기름에 오염된 정도를 뜻하는 ‘석유계 총탄화수소’ 수치가 기준치의 29배를 넘고 지하수에서는 발암물질인 벤젠과 페놀류 등의 검출량이 기준치의 2배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용산공원 방문 예약 첫날인 지난 20일에는 관람 예약 사이트와 공식 홈페이지 모두 먹통이 되면서 시민들이 불편을 겪기도 했다.

국토부는 이번 시범 개방 연기가 이 같은 오염물질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긋고 있다. 스포츠필드 등은 최근까지 미군 가족들과 학생들이 사용하던 시설이고 전문기관의 위해성 평가에서 평균적인 공원 이용 형태(주 3회·2시간)를 고려할 때 임시 활용에 큰 문제가 없다는 결과를 받았다는 설명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향후 용산기지 반환완료 후 공원조성 시에는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른 오염정화가 실시될 예정”이라며 “향후 공원 이용에 위험 요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비산먼지 측정 결과 등을 주기적으로 투명하게 공개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노해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