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濠 총선 노동당 승리…反中노선은 이어간다

■8년여만에 집권당 교체

중도좌파 앨버니즈 새 총리에

美·英·濠 '오커스' 강력 지지

추가 안보 동맹 탄생여부 주목

온실가스 2050년까지 순제로 등

공격적인 기후정책 채택 할수도

21일(현지 시간) 치러진 호주 총선에서 승리한 앤서니 앨버니즈(가운데) 노동당 대표가 시드니 캔터베리헐스톤파크 RSL클럽에서 여자친구 조디 헤이던(왼쪽), 아들 네이선 앨버니즈과 함께 손을 들어 올려 보이고 있다. 노동당의 승리로 호주는 8년 7개월 만에 집권당이 교체됐다. EPA연합뉴스21일(현지 시간) 치러진 호주 총선에서 승리한 앤서니 앨버니즈(가운데) 노동당 대표가 시드니 캔터베리헐스톤파크 RSL클럽에서 여자친구 조디 헤이던(왼쪽), 아들 네이선 앨버니즈과 함께 손을 들어 올려 보이고 있다. 노동당의 승리로 호주는 8년 7개월 만에 집권당이 교체됐다. EPA연합뉴스




21일(현지 시간) 진행된 호주 총선에서 8년 9개월 만에 보수에서 진보로 정권 교체가 이뤄지게 됐다. 중도좌파의 노동당이 승리하면서 앤서니 앨버니즈 노동당 대표가 차기 총리에 오른다. 선거 기간 중 비판 받아왔던 ‘친중’ 이미지를 벗고 대중국 견제 외교와 함께 임기를 시작한다.



22일 호주 ABC뉴스 등에 따르면 71%의 개표가 이뤄진 현재 노동당은 전체 151석의 하원 의석 중 72석을, 기존 집권당인 자유·국민연합은 52석을 확보했다. 이 밖에 무소속과 기타 정당이 12석, 녹색당이 3석을 차지했다. 아직 나오지 않은 12석의 결과와 상관없이 노동당은 큰 격차로 무난하게 제1당의 지위를 확정했다. 최종 득표율은 우편투표 결과까지 집계된 후 발표될 예정이다.




앨버니즈 대표는 전날 밤 집권이 확실시되자 “국가 통합을 원한다. 국민들 역시 한데 모여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고 공동의 목표로 나아가기를 원한다”며 승리 선언을 했다. 이에 앞서 스콧 모리슨 총리는 패배를 인정한 뒤 자유당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아일랜드계 호주인 어머니와 이탈리아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앨버니즈 대표는 호주 최초의 비(非)앵글로켈틱계 총리가 된다. 그는 1996년 연방 하원의원에 당선된 뒤 2007년 인프라및교통장관을 지냈으며 2019년 노동당 당 대표로 취임했다. 2013년에는 부총리가 됐지만 노동당의 선거 패배로 10주 만에 직책에서 물러나기도 했다. 그는 이번 투표 승리로 당시의 아쉬움을 떨치게 됐다.

8년 만의 정권 교체인 만큼 앞으로 호주는 외교 등 여러 분야에서 정책 변화가 뒤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앨버니즈 대표가 이끄는 노동당은 특히 역사적으로 중국과 가까운 사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최근 들어 호주 내 반중 정서가 커지면서 노동당의 이 같은 친중 이미지는 선거 기간 내내 기존 집권당의 공격 대상이 됐다. 앨버니즈 대표는 이를 의식한 듯 중국에 대응한 외교·안보 강화를 총리 취임 이후 첫 행보로 삼았다. 시드니모닝헤럴드는 앨버니즈 대표가 23일 취임식 이튿날 일본에서 열리는 미국·일본·인도·호주 4개국 안보협의체인 쿼드(Quad) 정상회담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앨버니즈 대표는 아울러 그간 모리슨 총리가 소홀했다는 평가를 받는 솔로몬 제도 등 이웃 국가 정상들과의 관계 재건을 최우선 순위로 삼겠다고 밝혀왔다. 또 미국·영국·호주의 안보 동맹인 오커스(AUKUS)를 강력히 지지하며 이와 같은 협의체도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기후 정책도 주요 현안이다. 노동당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43% 감축하고 2050년까지 순제로에 도달하겠다고 공언하는 등 친환경 정책의 우선순위를 높이고 있다. 호주국립대의 정치국제관계 강사인 마리야 타플라가는 CNN에 “이번 선거의 특징 중 하나는 녹색당의 선전”이라며 “기후변화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이 확인된 만큼 앞으로 노동당도 기후변화에서 더 빠르고 광범위한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은 관심은 노동당이 과반(76석)을 차지하며 단독 정부를 구성할 수 있을지다. 76석 확보에 실패할 경우 녹색당 등 군소 정당이나 무소속 의원들과 연정을 해야 한다. 영국 BBC는 “단독 과반을 얻지 못할 경우 급진적인 기후변화 행동을 추진해온 녹색당과 무소속 의원들이 정부의 관련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